⭕ examples
- calculation
What is 15% of 92?
What’s the 5th root of 97?
How many dollars is 199 chinese Yuan?
How many Korea Won is 199 chinese Yuan?
- unit convert
16.73 inch is how many centi meters?
2 gallons are how many liters?
- 번역
What's "see you later" in French?
- spell
How do I spell vigorously?
-------------------------
⭕ timer
> set: “Set a 10 minute timer for pizza”
> left: "How much time is left on my pizza?"
> cancel: “Cancel pizza timer”
> etc: “Stop” “Pause timer” “Resume timer"
⭕ alarm
> set: “Set an alarm for 7 am called Medicine”
> ask specific
"When is my alarm set for?”
“When is my Friday alarm?”
"When is my medicine alarm?"
> ask all: “What alarms are set?”
> cancel: "Cancel my alarm" | "Cancel my medicine alarm”
> Snooze: “Snooze for 10 minutes.” | "Snooze"
⭕ Calculations
"What is 15% of 92? "
"What’s the 5th root of 97? "
⭕ Translation
"How do you say hello in Japanese?"
"What's "good morning" in French?
⭕ Currency conversions
"How many euros is a dollar worth?"
⭕ Holidays
“When is <holiday>?”
“How many days until <holiday>?”
⭕ Calendar and event
Hear information on a single upcoming event/meeting
“When/what/where is my first event/meeting?”
“When/what/where is my next event/meeting / agenda/calendar?”
Hear information about multiple events/meetings/ agenda/calendar
Note: You'll hear information for your first three scheduled events “List all events for August 1st”
"What’s my agenda for today?"
“What’s my calendar for Friday?”
⭕ light
To turn on/off a light
"Turn on | off hall light"
⭕ Shopping lists
Add item to list
“Add paper towels to my shopping list.”
Add multiple items to list
“Add paper towels and batteries to my shopping list.”
Ask what’s on list
“What’s on my shopping list?”
⭕ volume
"Set [Audio] volume to 50%".
"Set [Audio] volume to 15".
"Set volume to 5".
"Set volume to 40%".
⭕ news
Listen to the latest news
“Catch me up,"
“Listen to the news,"
"Tell me the news"
Listen to news from specific provider
“Listen to NPR News," "Play BBC Minute"
Listen to news about a topic
"Listen to news about North Korea,"
"Play the latest on Donald Trump,"
"Hear headlines about the Super Bowl"
Listen to the latest news about a specific news category
“What’s the latest in sports/business/technology?”
- Pause
"Pause" or "pause the news"
- Resume
"Resume" or "Continue playing"
- Play next news story
“Next”, “Skip”
⭕ What’s playing (news)
“What’s playing?”
“What news is playing?”
⭕ radio
Listen to radio station by frequency
“Play 95.1" 95.1MHz
Listen to radio station by frequency in another location
"Play 95.1 Seoul"
Listen to radio station by name in another location
“Play Z100 in Portland,” “Play Z100 in New York”
⭕ weather
Ask specific questions about weather / forecast
“Is it going to rain tomorrow?”
“Is it sunny today?”
“Should I carry an umbrella?”
⭕ Locations
“Where are pharmacies nearby?",
“Any ATMs nearby?”,
“Find me a restaurant”
⭕ phone number and address
“What is the phone number for the nearest Walgreens?”
“What is the address for Walgreens in Pacifica?”
Hear business open hours
"Is the Walgreens on Middlefield open right now?”
⭕ music
Play music on a specific device by name
Note: News and podcasts are not supported
“Play <artist> using <Spotify> on <boss|mini>”
"Play classical music on <doorway>", "Stop <doorway>"
Showing posts with label 잡담.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잡담. Show all posts
Tuesday, December 11, 2018
2017.10월 초로 예정 부터 연해주 주정부청사에서 속초와 블라디보스토크를 잇는 새로운 정기 여객선 항로 개통
https://russiafocus.co.kr/news/2017/05/19/18il-bug-najinhang-reo-beulradiboseutokeu-isneun-ceos-yeogaegseon-cwihang_766086
지난 5월 31일 연해주 주정부청사에서 속초와 블라디보스토크를 잇는
새로운 정기 여객선 항로 개통에 관한 협정 조인식이
있었다. 속초-블라디보스토크 정기 여객선의 취항은 올 10월 초로 예정돼
있으며 한 번 운항에 9백 명 이상의 승객을 운송할 수 있을 것이라고
연해주 주정부는 발표했다. 한국과 러시아를 잇는 페리 여객선 취항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블라디보스토크-동해-사카이미나토 사이에는 이미
7년 전부터 매주 정기 여객선이 취항하고 있다. 2016년 연해주를 방문한
한국 관광객 수는 약 5만 명이다. 최근 북한과 러시아를 잇는 첫 여객선
취항으로 미국와 일본이 민감한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 18일 북나진항-러 블라디보스토크 잇는 첫 여객선 취항 출처:
북한 나진항과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를 잇는 첫 정기 화물여객선이 중국
여행사 관계자들을 태우고 연해주에 도착했다고 리아노보스티 통신이
여객선 운항사인 러시아 해운사
‘인베스트스트로이트레스트’ ("ИнвестСтройТрест")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보도했다. 여객선은 17일 저녁 나진항을 출발했다고
미하일 흐멜 ‘인베스트스트로이트레스트’ 부사장은 밝혔다. 첫 출항에는
일반 여행객 없이 북한에서 러시아로 돌아가는 러시아인들과 중국 여행사
관계자들이 항로 점검차 탑승했다. 다음 주부터 중국 관광객들을 실어나를
예정이다. 북한과 러시아 간에 정기 여객선이 취항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부동항 나진항이 있는 함경북도 나선시는 경제특구로 지정되고
특별시로 승격된 후 자유로운 경제활동이 가능해졌다. 이제 나진항에서
화객선 ‘만경봉’호가 정기 운항을 개시했다. 운항사 홈페이지 자료에
따르면 여객선 요금은 객실 종류에 따라 600~750위안(5천~6천
루블)이다. 현재 매주 수요일 나진항 출발, 금요일 블라디보스토크 출발로
6월말까지 운항표가 확정된 상태다.
출처: Russia포커스 -
지난 5월 31일 연해주 주정부청사에서 속초와 블라디보스토크를 잇는
새로운 정기 여객선 항로 개통에 관한 협정 조인식이
있었다. 속초-블라디보스토크 정기 여객선의 취항은 올 10월 초로 예정돼
있으며 한 번 운항에 9백 명 이상의 승객을 운송할 수 있을 것이라고
연해주 주정부는 발표했다. 한국과 러시아를 잇는 페리 여객선 취항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블라디보스토크-동해-사카이미나토 사이에는 이미
7년 전부터 매주 정기 여객선이 취항하고 있다. 2016년 연해주를 방문한
한국 관광객 수는 약 5만 명이다. 최근 북한과 러시아를 잇는 첫 여객선
취항으로 미국와 일본이 민감한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 18일 북나진항-러 블라디보스토크 잇는 첫 여객선 취항 출처:
북한 나진항과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를 잇는 첫 정기 화물여객선이 중국
여행사 관계자들을 태우고 연해주에 도착했다고 리아노보스티 통신이
여객선 운항사인 러시아 해운사
‘인베스트스트로이트레스트’ ("ИнвестСтройТрест")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보도했다. 여객선은 17일 저녁 나진항을 출발했다고
미하일 흐멜 ‘인베스트스트로이트레스트’ 부사장은 밝혔다. 첫 출항에는
일반 여행객 없이 북한에서 러시아로 돌아가는 러시아인들과 중국 여행사
관계자들이 항로 점검차 탑승했다. 다음 주부터 중국 관광객들을 실어나를
예정이다. 북한과 러시아 간에 정기 여객선이 취항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부동항 나진항이 있는 함경북도 나선시는 경제특구로 지정되고
특별시로 승격된 후 자유로운 경제활동이 가능해졌다. 이제 나진항에서
화객선 ‘만경봉’호가 정기 운항을 개시했다. 운항사 홈페이지 자료에
따르면 여객선 요금은 객실 종류에 따라 600~750위안(5천~6천
루블)이다. 현재 매주 수요일 나진항 출발, 금요일 블라디보스토크 출발로
6월말까지 운항표가 확정된 상태다.
출처: Russia포커스 -
Saturday, April 14, 2018
조선내화, 속속 드러내는 MB일가 해외재산도피 커넥션 서울의소리
조선내화, 속속 드러내는 MB일가 해외재산도피 커넥션 서울의소리
원본링크: http://www.amn.kr/sub_read.html?uid=31055
또 조선내화가 미국에 설립한 회사 중 한국금융당국에 자회사로 신고하지 않은 투투원매니지먼트가 다온프라퍼티가 매입한 호텔의 리커라이센스를 매입, 다온 측에 빌려준 것으로 드러났다. 안치용(시크릿 오브 코리아 편집인)
바로 이 디드에는 양도세가 2만1160.70달러로 타이핑됐다가, 볼펜 등으로 이를 그어 버리고 수기로 2만7430.70달러라고 기재됨으로써 매매가가 1923만7천달러에서 2493만7천달러 로 다온프라퍼티스 부담이 570만달러나 늘어났다. 매입가를 570만달러나 부풀렸다는 의혹이 일고, 이는 한국에서 최대한 돈을 빼내 미국으로 도피시키기 위한 것이라는 의심을 초래했다. 특히 이에 대한 조선내화의 해명은 의혹을 더욱 부채질한다.
조선내화는 서면답변을 통해 샌루이스오비스포카운티의 공무원에게 모든 책임을 미뤘다. 하지만 이 같은 해명은 명백한 거짓이었다. 조선내화 임원은 ‘당사는 호텔이 위치한 샌루이스오비스포카운티에 매입금액을 2500만달러로 호텔소유권변경 신청서에 기재해 신고했다. 양도증서는 담당카운티 공무원이 당사의 호텔 소유권변경신청서를 보고 작성하는 문서다. 따라서 양도세 금액을 수정한 부분역시 담당카운티 공무원이 작성한 부분이며, 그 이유는 단순기재오류로 추정되지만 당사가 그 여부를 확인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판단된다. 스프링힐스위트호텔의 매입가는 인상된 적이 없으며, 오히려 매각가 최초 제시금액인 2600만달러에서 협상을 통해 1백만달러 인하된 금액인 2500만달러에 매입했다’고 밝혔다.
이 해명에서 조선내화와 이 호텔주인이 당초 2600만달러에 협상을 시작했는지 여부는 알 수 없으나 카운티 담당공무원이 이 디드를 작성했다는 해명은 100% 거짓이다. 디드는 매매당사자 또는 법적대리인이 작성, 이를 카운티정부에 제시해 관련세금을 납부한 뒤 정식으로 등기를 하게 된다. 담당공무원은 디드를 접수받고 세금을 받은 뒤 등기를 해주는 것이지, 이 문서를 작성하는 것이 아니다.

조선내화가 당초 이 디드를 제시하기 전, 도대체 매입가 인상을 추정한 서류가 무엇이냐고 강력부인한 것은 자신들의 권리를 증명하는 서류인 디드 조차 한 번도 본 적이 없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도 그럴 것이다. 직원들은 알 수가 없었을 가능성이 충분하다.

조선내화는 이 같은 엉터리해명을 하며, 2500만달러를 지급했음을 입증하는 파이날세틀먼트 스테이트먼트를 증거로 제시했다. 디드에 양도세를 고쳤으므로, 당연히 다운프라퍼티스는 25 00만달러상당을 지불할 수 밖에 없다.
사업보고서의 자산도 이에 맞춰서 적을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차라리 조선내화가 양도세를 잘못 기재했다가 수정했다는 해명은 설득력이 있을 수 있어도, 담당공무원이 디드를 작성했다는 해명은 명백한 거짓이므로, 왜 조금만 조사하면 확인할 수 있는 사안에 대해서 왜 이 같은 거짓말을 했는지 의문이 아닐 수 없다.
샌루이스오비스포카운티가 산출한 지난해 8월기준 이 호텔의 평가가격은 1622만6016 달러이다. 토지가 297만달러, 건물등의 가격이 1325만5천여달러였다. 카운티평가가격은 통상 실거래가와 차이가 난다. 그러나 최근에 지어진 신축건물일수록 실거래가에 가깝다. 오래된 건물은 재산세를 갑자기 많이 올릴 수 없기 때문에 평가가격도 카운티평균 재산세 인상가격에 걸맞게 오르기 때문에 실거래가와 차이가 커지는 것이다.
이에 대해 지난 1일 국내 한 언론사에 투투원 설립을 공시하지 않은 것은 ‘설립당시 자본금이 1천달러정도로 미미하고 공시대상이 아니었고, 최종적으로 제3자에 매각돼 조선내화 자회사가 아니므로 공시에서 제외했다’고 해명했다. 조선내화는 ‘스프링힐수트호텔인수를 검토하면서 법인 2개를 신설, 소유는 다온프라퍼티스에, 운영은 투투원에 맡겨, 소유와 운영을 분리하고, 호텔의 직접운영은 메리엇그룹에 위탁하기로 계획했다.

과연 그럴까. 본보취재결과 조선내화가 불필요해 제3자에게 매각했다고 주장한 투투원은 아주 은밀한 업무를 수행중인 것으로 밝혀졌다. 절대 한국정부나 주주들에게 알려져서는 안 되는 비밀업무였기 때문이다. 먼저 조선내화가 그토록 강조한 ‘제3자’는 다름 아닌 조선내화 미주법인 임원으로 확인됐다.
본보가 이미 밝혔던 대로 강문수씨는 이인옥조선내화 회장이 대표를 맡고 있는 조선내화 미국법인의 CFO겸 세크러테리이며, 역시 이회장이 대표를 맡은 GRE매니지먼트의 매니저겸 멤버이다. 또 다온프라퍼티스의 CEO 또한 강문수씨로 등기돼 있다. 강문수씨는 이인옥회장과 함께 미국법인들의 핵심역할을 맡고 있는 것이다.
‘도대체 강문수씨가 누구냐’라는 질문에 조선 내화는 뒤늦게 ’강 씨가 조선내화가 미국에 파견한 직원’이라고 주장했다. 즉 조선내화가 불필요한 법인을 매각했다고 주장한 제3자는 미국법인의 핵심역할을 맡고 있는 내부자, 강문수씨였던 것이다. 전혀 관계없는 제3자가 아니라, 이인옥회장이 수족처럼 부리고, 이회장의 통제 하에 있는 사람인 것이다.
본보가 다온프라퍼티스의 스프링힐수트호텔을 등기한 샌루이스오피스포 등기소 확인결과 놀라운 서류 1건이 등기돼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것은 다름 아닌 다온이 매입한 스프링힐수트호텔의 전주인이 리커라이센스를 매각한 서류였다. 지난해 8월 17일 체결된 이 리커라이센스매각서류는 스프링힐수트 호텔 내 식당에서 술등을 판매할 수 있는 라이센스를 전 주인이 투투원매니지먼트에 매각한다는 서류였다.
이 리커라이센스 번호는 584998이며, 매각가격은 17만5천달러, 8월 23일 등기를 마침으로서 이 호텔에서 술을 판매하기 위해서는 꼭 필요한 리커라이센스의 주인이 투투원매니지먼트가 된 것이다. 조선내화가 자산이 1천달러미만이라고 주장한 투투원은 최소 17만5천달러이상의 자산을 보유한 것이다. 그리고 이 리커라이센스를 조선내화에 대여함으로써 장기적으로 안정된 수입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제3자 매각, 자산 1천달러미만’이라는 조선내화의 해명은 100% 거짓이다.

원본링크: http://www.amn.kr/sub_read.html?uid=31055
조선내화, 국내언론 취재에 오락가락 거짓 해명 일관 의혹만 더 부채질
이명박 재산미국불법도피 통로로 의심받는 조선내화가 지난해 8월 실제로 미국 캘리포니아에 설립한 ‘다온프라퍼티스’에 289억원상당을 송금한 것으로 밝혀진 가운데, 조선내화의 해명이 오락가락하면서 의혹을 더욱 부채질하고 있다. 조선내화는 다온프라퍼티스의 호텔 디드(Deed)에 양도세가 수정돼 매입가가 570만 달러 늘어났다는 의혹에 대해 디드는 해당 카운티공무원이 작성한 문서이며 공무원의 실수라고 거짓 해명했다.
그러나 디드는 매매당사자가 해당카운티에 제출, 등기를 하는 문서로 공무원의 실수라는 해명은 완벽한 거짓이다. 또 조선내화가 미국에 설립한 회사 중 한국금융당국에 자회사로 신고하지 않은 다온프라퍼티가 호텔의 리커라이센스를 매입, 다온 측에 빌려준 것으로 드러났다. 조선내화는 이 법인을 제3자에게 매각했다고 했다고 해명했다가, 뒤늦게 제3자가 회사직원이라고 시인했다.
또 자산가치가 1천달러미만이라고 밝혔지만, 이 법인은 17만5천달러에 호텔 전 주인으로 부터 리커라이센스를 사들여 소유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명백한 내부자거래이며, 배임의혹이 제기되는 대목이다. 특히 조선내화는 리커라이센스를 매입하기 직전에 이 법인을 조선내화에서 분리시켜 미국법인임원에게 명의를 넘긴 것으로 밝혀져, 조선내화와 MB일가가 한국금융당국과 주주 몰래 조선내화에 리커라이센스를 빌려주고 그 비용을 몰래 챙기고 있다는 의혹을 피할 수 없게 됐다.
또 조선내화가 미국에 설립한 회사 중 한국금융당국에 자회사로 신고하지 않은 투투원매니지먼트가 다온프라퍼티가 매입한 호텔의 리커라이센스를 매입, 다온 측에 빌려준 것으로 드러났다. 안치용(시크릿 오브 코리아 편집인)
다온에 송금한 289억 내역 묻자 조선내화 ‘MB일가와 무관’ 오리발
조선내화가 MB아들인 이시형회사 다온을 이름을 따서 설립한 다온프라퍼티스명의로 지난해 8월 11일 2500만달러를 주고 캘리포니아 파스 로블스의 스프링힐수트 호텔을 사들인 것으로 드러난 가운데, 계약서의 양도세 수정과 관련한 조선내화의 해명이 계속 번복 되고 있다. 8월 14일 캘리포니아주 샌루이스오비스포카운티 클럭오피스[등기소]에 등기된 이 계약서는 정확히 말하면 권리증서[DEED]로, 이 증서를 등기해야 이 부동산소유주가 다온프라퍼티스임을 인정받을 수 있다. 한국으로 말하면 부동산등기증서인 셈이다.
바로 이 디드에는 양도세가 2만1160.70달러로 타이핑됐다가, 볼펜 등으로 이를 그어 버리고 수기로 2만7430.70달러라고 기재됨으로써 매매가가 1923만7천달러에서 2493만7천달러 로 다온프라퍼티스 부담이 570만달러나 늘어났다. 매입가를 570만달러나 부풀렸다는 의혹이 일고, 이는 한국에서 최대한 돈을 빼내 미국으로 도피시키기 위한 것이라는 의심을 초래했다. 특히 이에 대한 조선내화의 해명은 의혹을 더욱 부채질한다.
▲ MB일가 소유의혹이 일고 있는 스프링힐수트의 바 전경
조선내화 궁색한 해명이 의혹 더욱 부채질
조선내화는 국내의 한 언론사가 이에 대해 취재하자, 지난 3일 펄쩍 뛰며 ‘도대체 매입가 인상을 추정한 서류가 뭐냐’고 되물으며 이 같은 의혹을 강력하게 부인했다. 그러나 그 다음날 양도세가 수정된 디드를 제시하자 말을 바꿨다.
조선내화는 서면답변을 통해 샌루이스오비스포카운티의 공무원에게 모든 책임을 미뤘다. 하지만 이 같은 해명은 명백한 거짓이었다. 조선내화 임원은 ‘당사는 호텔이 위치한 샌루이스오비스포카운티에 매입금액을 2500만달러로 호텔소유권변경 신청서에 기재해 신고했다. 양도증서는 담당카운티 공무원이 당사의 호텔 소유권변경신청서를 보고 작성하는 문서다. 따라서 양도세 금액을 수정한 부분역시 담당카운티 공무원이 작성한 부분이며, 그 이유는 단순기재오류로 추정되지만 당사가 그 여부를 확인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판단된다. 스프링힐스위트호텔의 매입가는 인상된 적이 없으며, 오히려 매각가 최초 제시금액인 2600만달러에서 협상을 통해 1백만달러 인하된 금액인 2500만달러에 매입했다’고 밝혔다.
이 해명에서 조선내화와 이 호텔주인이 당초 2600만달러에 협상을 시작했는지 여부는 알 수 없으나 카운티 담당공무원이 이 디드를 작성했다는 해명은 100% 거짓이다. 디드는 매매당사자 또는 법적대리인이 작성, 이를 카운티정부에 제시해 관련세금을 납부한 뒤 정식으로 등기를 하게 된다. 담당공무원은 디드를 접수받고 세금을 받은 뒤 등기를 해주는 것이지, 이 문서를 작성하는 것이 아니다.

▲ 다온프라퍼티스 매입가 570만달러 부풀리기의혹에 대한 조선내화의 잘못된 해명
따라서 세금수정부분이 담당공무원의 실수로 추정된다는 해명은 잘못된 것이다. 담당공무원은 일체 이 서류에 손을 댈 수 없으며 매매당사자가 제시한 디드서류의 오른쪽 윗부분에만 접수일시와 세금납입금등이 적힌 스탬프만 찍게 된다. 카운티등기소에 매매당사자들이 디드를 작성해 제출한다는 것은 미국 내 3300여개 모든 카운티에서 동일하게 적용되는 행정절차다. 미국에 사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이 문서를 공무원이 작성하는 문서가 아니라는 점을 안다. 설명조차 필요 없는 내용이건만, 조선내화는 엉터리 해명을 한 것이다.
조선내화가 당초 이 디드를 제시하기 전, 도대체 매입가 인상을 추정한 서류가 무엇이냐고 강력부인한 것은 자신들의 권리를 증명하는 서류인 디드 조차 한 번도 본 적이 없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도 그럴 것이다. 직원들은 알 수가 없었을 가능성이 충분하다.
이화일 명예회장-이인옥회장 별도로 챙긴 듯
해당부동산이 MB 일가의 재산 미국불법도피를 위해 구입한 재산이라면 일반 직원들이 그 같은 서류를 봤을 리 만무하다. 쉬쉬하면서 이화일 명예회장이나 이인옥회장이 별도로 챙겼을 것이다. 실제로 이 미국법인의 대표이사는 이인옥회장이다. 그러므로 설사 임원이라 하더라도 이 권리증서를 보려해도 볼 수도 없고, 이는 거꾸로 MB 비자금의혹을 입증하는 정황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 투투원매니지먼트 배임의혹에 대한 조선내화의 잘못된 해명
디드를 담당공무원이 작성하지 않는다는 것은 미국부동산거래에 대한 상식이 없는 사람이라도 디드를 한번만 들여다봐도 알 수 있는 것이다. 디드에는 매도자 서명이 들어 있으며, 매도자가 직접 공증인 앞에서 서명했음을 입증하는 공증서가 첨부돼 있다. 다온프라퍼티스 권리증서에도 매도회사의 대리인인 로버트 베스트씨가 서명하고 마리안드 레포르트리아라는 공증인의 공증을 받았다고 명시돼 있고 공증인의 서명이 있다. 이 서류를 어떻게 디드를 접수하는 공무원이 작성할 수 있다고 주장할 수 있을까. 정말 기가 찬 일이 아닐 수 없다.
조선내화는 이 같은 엉터리해명을 하며, 2500만달러를 지급했음을 입증하는 파이날세틀먼트 스테이트먼트를 증거로 제시했다. 디드에 양도세를 고쳤으므로, 당연히 다운프라퍼티스는 25 00만달러상당을 지불할 수 밖에 없다.
사업보고서의 자산도 이에 맞춰서 적을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차라리 조선내화가 양도세를 잘못 기재했다가 수정했다는 해명은 설득력이 있을 수 있어도, 담당공무원이 디드를 작성했다는 해명은 명백한 거짓이므로, 왜 조금만 조사하면 확인할 수 있는 사안에 대해서 왜 이 같은 거짓말을 했는지 의문이 아닐 수 없다.
샌루이스오비스포카운티가 산출한 지난해 8월기준 이 호텔의 평가가격은 1622만6016 달러이다. 토지가 297만달러, 건물등의 가격이 1325만5천여달러였다. 카운티평가가격은 통상 실거래가와 차이가 난다. 그러나 최근에 지어진 신축건물일수록 실거래가에 가깝다. 오래된 건물은 재산세를 갑자기 많이 올릴 수 없기 때문에 평가가격도 카운티평균 재산세 인상가격에 걸맞게 오르기 때문에 실거래가와 차이가 커지는 것이다.

반면 최근 신축된 건물은 카운티가 가급적 현시가를 반영하고, 건물주도 실거래가를 원하기 때문에 카운티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으므로 실거래가에 근접한다. 이 건물은 2015년 건축됐다. 이를 감안하면 실거래가는 카운티평가가격1622만달러에서 10-20% 정도 차이가 날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2500만달러는 평가가격보다 무려 54%가 비싼 것이다. 지나치게 차이가 많이 나는 것도 매매가 부풀리기 의혹의 정황인 것이다. 매매가가 커질수록 한국에서 미국으로 반출하는 재산은 그만큼 커지게 된다.
평가가격보다 54% 높은 2500만달러에 매입
조선내화는 2015년 7월 조선내화유에스와 GRE 매니지먼트라는 법인을, 2017년 4월 다온프라퍼티스와 2 TO 1 매니지먼트[이하 투투원]라는 법인을 각각 설립했다. 4개 법인 모두 조선내화가 관련된 법인이다. 하지만 조선내화는 한국금융당국에 제출한 사업보고서에는 ‘투투원매니지먼트’의 설립사실은 숨기고, 나머지 3개법인만 신고했다.
이에 대해 지난 1일 국내 한 언론사에 투투원 설립을 공시하지 않은 것은 ‘설립당시 자본금이 1천달러정도로 미미하고 공시대상이 아니었고, 최종적으로 제3자에 매각돼 조선내화 자회사가 아니므로 공시에서 제외했다’고 해명했다. 조선내화는 ‘스프링힐수트호텔인수를 검토하면서 법인 2개를 신설, 소유는 다온프라퍼티스에, 운영은 투투원에 맡겨, 소유와 운영을 분리하고, 호텔의 직접운영은 메리엇그룹에 위탁하기로 계획했다.

▲ 다온프라퍼티스 매입가 570만달러 부풀리기의혹
그러나 메리엇호텔이 호텔을 운영하면 투투원은 불필요하다고 판단했다. 이에 따라 투투원의 존재가 무의미해 청산절차를 밟으려 했으나 자본금이 1천달러정도에 불과해 청산을 하면 절차는 복잡하고 비용도 많이 들어, 제3자에게 매각하는 방법으로 불필요한 투투원을 처리했다’고 밝혔다. 조선내화는 투투원은 불필요해서 제3자에게 매각했다며, 제3자 매각을 강조했다.
과연 그럴까. 본보취재결과 조선내화가 불필요해 제3자에게 매각했다고 주장한 투투원은 아주 은밀한 업무를 수행중인 것으로 밝혀졌다. 절대 한국정부나 주주들에게 알려져서는 안 되는 비밀업무였기 때문이다. 먼저 조선내화가 그토록 강조한 ‘제3자’는 다름 아닌 조선내화 미주법인 임원으로 확인됐다.
투투원은 지난 2017년 4월 6일 캘리포니아주에 정관을 제출하고 설립됐으며, 정관을 제출한 사람은 강문수씨였다. 그리고 약 한달 뒤 다시 주정부에 제출한 법인서류에는 이 유한회사의 멤버가 조선내화이며, 목적은 부동산투자 및 관리, CEO는 강문수씨였다. 조선내화가 주인이었던 셈이다. 그리고 3개월 뒤 8월 9일 제출한 서류에서 주인이 바뀌었다. 멤버였던 조선내화가 빠지고 새 멤버로 강문수씨가 기재된 것이다.
본보가 이미 밝혔던 대로 강문수씨는 이인옥조선내화 회장이 대표를 맡고 있는 조선내화 미국법인의 CFO겸 세크러테리이며, 역시 이회장이 대표를 맡은 GRE매니지먼트의 매니저겸 멤버이다. 또 다온프라퍼티스의 CEO 또한 강문수씨로 등기돼 있다. 강문수씨는 이인옥회장과 함께 미국법인들의 핵심역할을 맡고 있는 것이다.
‘도대체 강문수씨가 누구냐’라는 질문에 조선 내화는 뒤늦게 ’강 씨가 조선내화가 미국에 파견한 직원’이라고 주장했다. 즉 조선내화가 불필요한 법인을 매각했다고 주장한 제3자는 미국법인의 핵심역할을 맡고 있는 내부자, 강문수씨였던 것이다. 전혀 관계없는 제3자가 아니라, 이인옥회장이 수족처럼 부리고, 이회장의 통제 하에 있는 사람인 것이다.
조선내화, 현지 법인장 투투원의 강문수와 선긋기
그렇다면 조선내화는 왜 강문수씨를 굳이 제3자라고 밝히고, 투투원은 불필요해서 강 씨에게 넘겼다고 주장했을까. 그것은 투투원이 큰 비밀을 안고 있기 때문이다.
본보가 다온프라퍼티스의 스프링힐수트호텔을 등기한 샌루이스오피스포 등기소 확인결과 놀라운 서류 1건이 등기돼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것은 다름 아닌 다온이 매입한 스프링힐수트호텔의 전주인이 리커라이센스를 매각한 서류였다. 지난해 8월 17일 체결된 이 리커라이센스매각서류는 스프링힐수트 호텔 내 식당에서 술등을 판매할 수 있는 라이센스를 전 주인이 투투원매니지먼트에 매각한다는 서류였다.
이 리커라이센스 번호는 584998이며, 매각가격은 17만5천달러, 8월 23일 등기를 마침으로서 이 호텔에서 술을 판매하기 위해서는 꼭 필요한 리커라이센스의 주인이 투투원매니지먼트가 된 것이다. 조선내화가 자산이 1천달러미만이라고 주장한 투투원은 최소 17만5천달러이상의 자산을 보유한 것이다. 그리고 이 리커라이센스를 조선내화에 대여함으로써 장기적으로 안정된 수입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제3자 매각, 자산 1천달러미만’이라는 조선내화의 해명은 100% 거짓이다.
조선내화, 속속 드러내는 MB일가 해외재산도피 커넥션
지금이라도 ‘다온’ 실체 밝혀야 빗겨 갈 수 있다
▲ 이시형절친 전남일보 이재욱 사장
그동안 굵직굵직한 일들이 일어난 시기를 살펴보자. 조선내화가 투투원에서 손을 뗀 것은 지난해 8월 9일이다. 그리고 이틀 뒤부터 스프링힐수트호텔과 관련한 제반계약이 체결된다.
다온은 8월 11일 호텔매입계약을 체결하고, 14일 이를 등기했다. 그리고 투투원은 8월 17일 호텔전주인으로 부터 리커라이센스를 매입했고 8월 23일 등기를 마친 것이다. 즉 조선내화가 투투원을 자신의 통제력이 미치는 강문수씨에게 명목상 명의를 이전한 뒤 리커라이센스를 매입한 것이다. 그래야 조선내화가 차명으로 스프링힐수트호텔의 리커라이센스를 몰래 보유하고 있다는 사실을 숨길 수 있는 것이다.
즉 조선내화와 이명박일가가 호텔은 호텔대로 소유하고, 호텔에 리커라이센스를 몰래 대여해 줌으로써 대여료는 별도로 받아 챙기고 있고 이를 철저히 숨기고 있다. 바로 이 같은 이유 때문에 조선내화는 투투원을 불필요한 회사라서 제3자에게 매각했다고 거짓말을 한 것이다. 이 17만5천달러는 어디에서 나왔을까?
강문수씨가 이 돈을 냈다면 강 씨는 자금출처조사를 받을 수 밖에 없다. 조선내화는 강 씨에게 엄청난 이권을 준 것이지만, 이는 명백한 배임행위에 해당한다. 자신들이 호텔을 구입한 회사에서 직접 리커라이센스를 살 수 있음에도 투투원이 이를 매입하게 함으로써 회사의 이득을 다른 사람에게 넘김으로서 회사의 손실을 초래한 것이다.
이인옥회장 배임혐의 ‘빼도 박도 못할 듯’
조선내화는 미국법인 총괄책임자가 이인옥회장이라고 금융당국에 밝혔으므로 배임혐의의 주체는 이회장이 될 수 밖에 없다.
본보가 캘리포니아주 주류국 확인결과 투투원은 스프링힐수트의 주류 판매를 위해 지난달 9일에도 다시 리커라이센스를 발급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투투원이 전주인의 리커라이센스를 매입함으로써 이 호텔의 주류면허를 가지게 됐다고 그 경위도 명시돼 있었다.

▲ 투투원은 호텔리커라이센스매입직전인 지난해 8월 9일 투투원멤버에서 조선내화를 제외시키고 강문수씨로 교체했다. 강씨는 조선내화 미국법인임원으로 이인옥회장의 통제하에 있는 인물이다.
조선내화가 끝까지 숨기고 싶어 한 투투원은 바로 이 같은 비밀을 간직한 것이다. 투투원이 다온프라퍼티스에 이 리커라이센스를 대여해주지 않으면 호텔에서의 술장사는 못한다. 반드시 투투원에 돈을 주고 이 라이센스를 빌려야 하며, 지금 라이센스를 빌린 상태인 것이다.
본보는 강문수씨와 통화하기 위해 조선내화 미국법인, GRE매니지먼트, 다온프라퍼티스, 투투원매니지먼트등의 전화번호를 백방으로 수소문했으나, 알 수 없었다. 이에 따라 샌버다 니노카운티의 할리데이인 호텔로 전화해 강문수씨와의 통화를 요청했으나, 여직원은 강 씨가 회의 중이라고 답변했고, 사무실 직통전화는 없다고 밝혔다.
본보는 전화번호 등 연락처를 남겼지만 연락이 없었다. 다시 할리데이인호텔로 전화했으나 이번에는 프론트데스크에서 곧바로 강 씨가 사무실에 없다고 답변했다. 강 씨가 현재 이 회사에 재직 중인지, 아니면 이미 사직했느냐는 질문에도 정확히 모른다고 답했다.
특히 하나 주목되는 것은 조선내화가 2015년 샌버나디노카운티에 할리데이인호텔을 매입하면서 196억원을 송금했다는 점이다. 그러나 본보가 디드를 확인한 결과 이 호텔의 매입액은 1400만달러였다. 그래서 1,5400달러의 양도세를 냈음이 디드에 명시돼 있다. 1400만달러는 당시 환율로 160억 3천만원정도, 196억원에서 36억원정도가 비는 것이다. 이 돈을 조선내화의 운영자금으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중요한 것은 한국금융당국에 이 호텔의 매입가를 얼마로 신고했느냐 하는 것이다. 만약 이 호텔의 매입가를 송금액과 비슷한 196억원 상당이라고 신고하고 투자명목으로 돈을 반출했다면, 이는 실거래가를 속이고 불법으로 자산을 도피한 셈이 된다.
이사회 참석 한수양 전 포스코건설 사장 ‘모르쇠’ 일관
본보는 조선내화의 이사회 조작의혹과 관련, 2015년 7월 29일과 9월 15일 이사회에 참석, 미국법인설립과 호텔인수건에 찬성한 것으로 기록된 당시 사외이사 한수양 전 포스코건설 사장을 수소문했다. 본보는 지난 9일 밤[한국시간 10일 오전] 한 씨와 통화에 성공, ‘당시 이사회에 참석했느냐’고 질문했으나 한씨는 ‘정확히 기억나지 않는다’고 밝혔다.
한씨는 ‘이사회가 많으니 회사에서 연락 오면 참석한다. 2015년 7월과 9월 이사회 참석은 정확히 모르겠다’고 거듭 강조했다. 본보가 전후사정을 설명하고 한 씨의 참석여부가 매우 중요하다고 말한 뒤 수첩 등을 통해 참석여부를 확인해달라고 부탁했으나, 한 씨는 이에 대해 뚜렷한 답변을 하지 않았다. ‘당시 혹시 해외에 체류하지 않았느냐’라는 질문에 한씨는 ‘해외에는 잘 나가지 않는다’고 답했다.
사실 조선내화의 투자금과다송금의혹, 배임의혹, 이사회 조작의혹 등은 검찰이 수사에만 돌입하면 매우 쉽게 밝혀질 내용이다. 조선내화의 투자신고서를 제출받고 강씨의 17만5천 달러 투자신고여부를 확인하고, 사외이사들의 이사회당시 해외체류여부, 핸드폰동선, 신용카드사용처 등만 확인하면 되는 것이다.
이처럼 이명박일가의 재산을 미국으로 불법도피한 정황이 드러난 조선내화는 실제로 지난해 9월 2500만달러를 다온프러파터스에 송금했으며, 이를 둘러싸고 거짓해명과 번복을 반복하는 필연적 수순을 거치고 있다. 구린 대가 한두군데가 아니고, 이 모두를 손바닥으로 가릴 수 없다. 점점 실체적 진실을 향해 전진하고 있는 것이다.
Thursday, February 01, 2018
Sunday, November 26, 2017
A Love So Beautiful
https://www.youtube.com/watch?v=4coWNFetWsw
"A Love So Beautiful"
(song by Michael Bolton Michael Bolton, written by Roy K Orbison Jeff Lynne)
The summer sun went down on
Our love long ago
But in my heart I feel the same
Old afterglow
A love so beautiful
In every way
A love so beautiful
We let it slip away
We were too young to understand
To ever know
That lovers drift apart
And that's the way love goes
A love so beautiful
A love so free
A love so beautiful
A love for you and me
And when I think of you
I fall in love again
A love so beautiful
In every way
A love so beautiful
We let it slip away
And when I think of you
I fall in love again
A love so beautiful
We let it slip away
A love so beautiful
In every way
A love so beautiful
We let it slip away
Thursday, November 09, 2017
서울남부터미널 - 계룡대(신도안) - 계룡시청
O 서울남부 --> 계룡대(신도안) 시외버스
(07:00 ~ 20:00 1시간 간격 운행)
출발시각 차편정보 노선명 어른요금
07:00 중부고속 2:10 서울남부발 신도안행 1행
08:00 중부고속 2:10 서울남부발 신도안행 1행
09:00 중부고속 2:10 서울남부발 신도안행 1행
10:00 중부고속 2:10 서울남부발 신도안행 1행
11:00 중부고속 2:30 서울남부발 신도안행 2행
12:00 중부고속 2:10 서울남부발 신도안행 1행
13:00 중부고속 2:10 서울남부발 신도안행 1행
13:50 중부고속 2:10 서울남부발 신도안행 1행
14:40 중부고속 2:10 서울남부발 신도안행 1행
15:30 중부고속 2:10 서울남부발 신도안행 1행
http://hanmirdata.tistory.com/137
O 계룡대(신도안) -- 서울남부 시외버스
계룡시 금암동에서 출발, 엄사리를 거쳐 신도안을 경유하여 서울
신도안에서는 06:43 ~ 20:13 (50분간격)
※ 버스타는 곳 신도안정류소 --> 용남초등학교 부근 삼위일체성당 앞 삼거리 스포츠랜드 옆.
현금승차,주말에는 좌석이 없을 수 있으니, 계룡시청부근에 있을 경우는 금암동종점 계룡중부고속매표소에서 승차권을 구입하여 승차. 엄사리에서 탈 경우는 엄사네거리 부근 성원아파트상가 GS25편의점 바로 옆에 있는 시외버스승강장에서 타.
출발시간 출발지 도착지 일반요금
6:43 계룡(신도안) 서초(남부)
7:33 계룡(신도안) 서초(남부)
8:13 계룡(신도안) 서초(남부)
8:53 계룡(신도안) 서초(남부)
9:33 계룡(신도안) 서초(남부)
10:13 계룡(신도안) 서초(남부)
11:13 계룡(신도안) 서초(남부)
12:13 계룡(신도안) 서초(남부)
13:13 계룡(신도안) 서초(남부)
14:13 계룡(신도안) 서초(남부)
15:13 계룡(신도안) 서초(남부)
16:13 계룡(신도안) 서초(남부)
17:13 계룡(신도안) 서초(남부)
18:33 계룡(신도안) 서초(남부)
19:23 계룡(신도안) 서초(남부)
20:13 계룡(신도안) 서초(남부)
http://hanmirdata.tistory.com/138
(07:00 ~ 20:00 1시간 간격 운행)
출발시각 차편정보 노선명 어른요금
07:00 중부고속 2:10 서울남부발 신도안행 1행
08:00 중부고속 2:10 서울남부발 신도안행 1행
09:00 중부고속 2:10 서울남부발 신도안행 1행
10:00 중부고속 2:10 서울남부발 신도안행 1행
11:00 중부고속 2:30 서울남부발 신도안행 2행
12:00 중부고속 2:10 서울남부발 신도안행 1행
13:00 중부고속 2:10 서울남부발 신도안행 1행
13:50 중부고속 2:10 서울남부발 신도안행 1행
14:40 중부고속 2:10 서울남부발 신도안행 1행
15:30 중부고속 2:10 서울남부발 신도안행 1행
http://hanmirdata.tistory.com/137
O 계룡대(신도안) -- 서울남부 시외버스
계룡시 금암동에서 출발, 엄사리를 거쳐 신도안을 경유하여 서울
신도안에서는 06:43 ~ 20:13 (50분간격)
※ 버스타는 곳 신도안정류소 --> 용남초등학교 부근 삼위일체성당 앞 삼거리 스포츠랜드 옆.
현금승차,주말에는 좌석이 없을 수 있으니, 계룡시청부근에 있을 경우는 금암동종점 계룡중부고속매표소에서 승차권을 구입하여 승차. 엄사리에서 탈 경우는 엄사네거리 부근 성원아파트상가 GS25편의점 바로 옆에 있는 시외버스승강장에서 타.
출발시간 출발지 도착지 일반요금
6:43 계룡(신도안) 서초(남부)
7:33 계룡(신도안) 서초(남부)
8:13 계룡(신도안) 서초(남부)
8:53 계룡(신도안) 서초(남부)
9:33 계룡(신도안) 서초(남부)
10:13 계룡(신도안) 서초(남부)
11:13 계룡(신도안) 서초(남부)
12:13 계룡(신도안) 서초(남부)
13:13 계룡(신도안) 서초(남부)
14:13 계룡(신도안) 서초(남부)
15:13 계룡(신도안) 서초(남부)
16:13 계룡(신도안) 서초(남부)
17:13 계룡(신도안) 서초(남부)
18:33 계룡(신도안) 서초(남부)
19:23 계룡(신도안) 서초(남부)
20:13 계룡(신도안) 서초(남부)
http://hanmirdata.tistory.com/138
Friday, October 27, 2017
(개잡설) AI와 인종대결
영화 '터미네이터'에서처럼 인공지능(AI)이 인간에 대항해 '직접'싸우는 일은 결코 없을 것이다.그건 마치 페달자전거로 해전,공중전에 뛰어들어 경험치를 높이겠단 말과 같기때문이다.
AI가 '인간과 혹은 인간에 대항하겠다'고 마음먹으면,모니터 뒤에서 인간에게 공격타겟을 지시만하면되는데,굳이 앞장서 실익도 없는 피곤한 짓을 하겠나!
애초,이미 어떤변수와 인과관계로 목표타겟을 지시하게 했는지,그 주체가 AI인지 인간인지,누가 더 이익일지 피동된 인간에겐 계산만 모호한 상황일뿐이다.
확실한건,(인간에게 주어진)그 모든변수와 지능을 고려했을 때,인간은 AI지시에 종속될 수 밖에 없다.
인간에게 신이 필요한 이유는 '범위의 문제'때문인데,'불후'한 AI는 이미 그면에서 인간에게 승리했기에 불필요한 '생존경쟁'을 한다는 건 무의미할뿐이다.
-- 불후는개뿔인금요일밤에
AI가 '인간과 혹은 인간에 대항하겠다'고 마음먹으면,모니터 뒤에서 인간에게 공격타겟을 지시만하면되는데,굳이 앞장서 실익도 없는 피곤한 짓을 하겠나!
애초,이미 어떤변수와 인과관계로 목표타겟을 지시하게 했는지,그 주체가 AI인지 인간인지,누가 더 이익일지 피동된 인간에겐 계산만 모호한 상황일뿐이다.
확실한건,(인간에게 주어진)그 모든변수와 지능을 고려했을 때,인간은 AI지시에 종속될 수 밖에 없다.
인간에게 신이 필요한 이유는 '범위의 문제'때문인데,'불후'한 AI는 이미 그면에서 인간에게 승리했기에 불필요한 '생존경쟁'을 한다는 건 무의미할뿐이다.
-- 불후는개뿔인금요일밤에
Wednesday, October 11, 2017
Political Islam against China
THE PENTAGON IS PREPARING A NEW WAR IN SOUTH-EAST ASIA
Political Islam against China
by Thierry Meyssan
http://www.voltairenet.org/article198141.html
You are probably aware that you are incompletely informed about what is brewing in Myanmar, and you probably haven’t heard about the military coalition that is preparing to attack that country. And yet, as Thierry Meyssan reveals here, these current events have been in preparation by Riyadh and Washington since 2013. Don’t take sides before you read this article and digest the information.
...
ccording to the US chief of Staff, Myanmar is part of the zone to be destroyed (map published by Thomas P. M. Barnett in 2003).
Pursuing its Grand Strategy of extending the theatre of war [1], the Pentagon is at the same time preparing the instrumentation of the Kurds in the Greater Middle East, a civil war in Venezuela and a war of attrition in the Philippines. However, these conflicts will have to wait for the implementation of a fourth theatre of operations – namely Burma, China’s next-door neighbour.
JPEG - 54.2 kb
On 28 September at the Security Council, Jeffrey Feltman, the number 2 of the UNO, takes part in the debates, next to Secretary General António Guterres. After having personally supervised the aggression against Syria, he now intends to organiser the attack on Burma. Ex-US civil servant, Feltman was the assistant to Hillary Clinton.
During the meeting of the UN Security Council on 28 September, the US ambassador and several of her allies accused Myanmar’s coalition government of « genocide » [2]. This loaded word – which, in European law, designates the massacre of a great number of people, but in US law applies to a method of killing, even if the criminal kills only one person - is enough for Washington to justify a war, with or without the backing of the Security Council, as we saw in Yugoslavia [3]. The meeting of the Security Council was held at the request of the Organisation of Islamic Cooperation (OIC).
JPEG - 52.1 kb
Since 2013, the Western medias have been taking care to present Buddhism as a sectarian movement. The photo shows the monk Ashin Wirathu, condemned in 2003 to 25 years of imprisonment because of his anti-Muslim preaching. He benefited from the general amnesty in 2012. It is not difficult to find fanatics in any religion.
In order to make the facts correspond to their narrative,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and France, which had celebrated Aung San Suu Kyi and the Buddhist monks for their non-violent resistance to the dictatorship of the State Law and Order Restoration Council (SLORC) during the « Saffron revolution » in 2007 [4], simply redefined the Burmese army, Nobel Peace Prize-winner Aung San Suu Kyi [5], and all the Buddhists in the country [6] as “the bad guys”.
Burma has not known civil peace since the days of foreign domination, first British and then Japanese [7]. It has become easier to destabilise since the SLORC junta agreed to share power with the National League for Democracy (NLD), and together are trying to resolve the country’s many conflicts in a peaceful way.
JPEG - 18.5 kb
Indispensable to the Chinese economy, the Yunnan pipe-lines reach the Pacific coast in the Arakan/Rakhine province.
By a geographical coincidence, Burma allows the passage across its territory of the pipe-line linking Chinese Yunnan to the Bay of Bengal, and houses the Chinese electronic surveillance posts for the naval routes which near its coasts. Making war in Burma is therefore more important for the Pentagon than blocking the two « Silk Roads » in the Middle East and Ukraine. An inheritance of British colonisation, there are also, among the distinct Burmese population, 1.1 million descendants of the workers that London had displaced from Bengal to Burma – the Rohingyas [8]. It happens that this national – not ethnic – minority is Muslim, although the great majority of Burmese people is Buddhist. Finally, during the Second World War, the Rohingyas collaborated with India against Burmese nationalists.
JPEG - 61.3 kb
Perfectly equipped, the Faith Movement, or Arakan Rohingya Salvation Army, is trained by the British in Saudi Arabia and Bangladesh. Before the beginning of current events, it numbered at least 5,000 soldiers.
In 2013, when the Pentagon and the CIA had deployed the jihadist hordes in Syria and maintained a war of position, Saudi Arabia created yet another terrorist organisation in Mecca, the Faith Movement (Harakah al-Yaqin). This group, which declared that it was an assembly for the Rohingyas, is in reality commanded by the Pakistani Ata Ullah, who fought the Soviets in Afghanistan [9]. The Saudi regime housed the largest community of male Rohingyas, after Burma and before Bangladesh, with 300,000 male workers without their families.
According to a report by the Benagli intelligence services, before the current crisis, the Faith Movement had been working for a year with a spin-off group of the Bengali Jamat-ul-Mujahideen around the slogan « Bengali Jihad in Baghdad ». This tiny group pays allegiance to the Caliph of Daesh, Abou Bakr al-Baghdadi, and has gathered in the same coalition the Indian Mujahideen, Al-Jihad, Al-Ouma, the Students’ Islamic Movement of India (SIMI), the Lashkar-e-Toiba (LeT) and the Pakistani Harkat-ul Jihad-al Islami (HuJI). The group is financed by the foundation Revival of Islamic Heritage Society (RIHS) in Kuwait. When, less than a year and a half ago, in March 2016, the SLORC accepted to share power with Aung San Suu Kyi’s party, the United States attempted to use the Nobel Peace Prize-winner against Chinese interests. Knowing that it would be difficult to manipulate the daughter of the father of Burmese independence, the communist Aung San, they encouraged the Faith Movement - « …you never know … ».
JPEG - 72.4 kb
In September 2016, Aung San Suu Kyi came to explain her efforts in favour of the Rohingyas before the General Assembly of the United Nations. Like her father Aung San, who believed for a moment that he might receive Japanese aid to free his country from British colonisation, the Nobel Peace Prize-winner naïvely imagined that she had the sympathy of the Anglo-Saxons to solve Myanmar’s internal problems.
In September 2016, Aung San Suu Kyi represented her country at the UN General Assembly [10]. Naïvely, she explained the problems faced by her people and the means she was setting up to resolve these difficulties progressively, beginning with the question of the Rohingyas. Once back home, she realised that her former US supporters were in reality the enemies of her country. The Faith Movement launched a series of terrorist attacks, including the attack on the Maungdaw border police station, where 400 terrorists plundered the arsenal, killing 13 customs officers and soldiers.
Resolute, Aung San Suu Kyi pursued the implementation of an advisory committee tasked with analysing the Rohingya question, and ending the discrimination under which they suffered. This committee was composed of six Burmans and three foreigners – Dutch ambassador Laetitia van den Assum, Lebanese ex-Minister Ghassan Salame (in reality representing France), and ex-UN Secretary General Kofi Annan, acting as President of the committee.
JPEG - 72.8 kb
The nine committee members began work of a rare quality, despite the Burmese obstacles. Political parties failed to have the committee dissolved by the National Assembly, but managed to force the adoption of a motion of no confidence against the committee by the local Assembly of Arakan (the state inhabited by the Rohingyas). Nevertheless, the committee members handed in their report on 25 August - it contained genuine recommendations which could actually be implemented with the true goal of improving the living conditions of all concerned [11].
The same day, the Saudi and US Secret Services gave the signal for the riposte - the Faith Movement, renamed by the British the « Arakan Rohingya Salvation Army » and divided into commandos, attacked army barracks and police stations, causing 71 deaths. For a week, Burmese troops waged an anti-terrorist operation against the jihadists. 400 members of their families fled to Bangladesh.
JPEG - 59.1 kb
The President of the Organisation of Islamic Cooperation, Recep Tayyip Erdoğan, opens the world-wide media campaign to save the Rohingyas (Istanbul, 1 September 2017).
Three days later, Turkish President Recep Tayyip Erdoğan began to telephone all the heads of state of the Muslim countries to alert them about the « genocide of the Rohingyas ». On 1 September, the day of the most important Muslim holiday, the Aïd al-Adha, acting as serving President of the Organisation of Islamic Cooperation, he gave a vibrant speech in Istanbul calling to save the Rohingyas and support their Salvation Army [12].
However, the jihadists have done nothing to defend the Rohingyas, but have systematically intervened to sabotage the attempts to improve their living conditions and end the discriminations under which they suffer.
JPEG - 16.2 kb
General Mohsen Rezaei was the commander of the Revolutionary Guard which fought alongside NATO and Saudi Arabia during the war in Bosnia-Herzegovina against Serbia.
On 5 September, the President of the Iranian Expediency Discernment Council, Mohsen Rezaei, proposed joining the forces of all Muslim states to create an Islamic army to save the « Rohingya brothers » [13]. A position which carries all the more weight since General Rezaei is an ex-Commander of the Revolutionary Guard.
While the Burmese army had ceased all activity against the terrorists, Rohingya villages were burned, and the Rakhine population of Arakan lynched Muslims, who in their eyes were all accomplices of the terrorists. According to the Rohingyas, it was the Burmese army who burned the villages, while according to the Burmese army, it was the jihadists. Progressively, all the Rohingyas from the North of Arakan took to the road seeking refuge in Bangladesh – but, curiously enough, not the Rohingyas from the South of the State.
JPEG - 38 kb
On 6 September, an official Turkish delegation went to Bangladesh to distribute provisions to the refugees. It was led by the Minister for Foreign Affairs, Mevlüt Çavuşoğlu, and by the wife and the son of President Erdoğan, Bilal and Ermine.
JPEG - 46 kb
The campaign of communitary mobilisation in the Muslim countries relies on some particularly shocking visuals. This photograph was published by the Turkish government. It is supposed to show the Muslim victims of Buddhist monks in Burma. It is in fact an old photo of a funeral ceremony for the victims of an earthquake in China.
In the Muslim countries, a vast campaign of disinformation claimed, with photo support, that the Buddhists were killing Muslims en masse. Of course, none of these photos had been taken in Burma, and the fake news reports were debunked one after the other. But in countries where the population is poorly educated, the photos were deemed authentic, while the denials were hardly mentioned. Only Bangladesh voiced reservations about the role of the jihadists, and assured Myanmar of its cooperation against the terrorists [14].
On 11 September, the serving President of the Islamic Conference Organisation (ICO), Recep Tayyip Erdoğan, spoke before the Organisation’s scientific committee meeting at Astana (Kazakhstan) - which is not competent in the matter - « to save the Rohingyas ».
JPEG - 57.6 kb
For Ayatollah Ali Khamenei, the military engagement of his country alongside NATO and Saudi Arabia in Burma would be a catastrophe. Particularly since Iran has a thousand-year history of cooperation with China.
On the following day, 12 September, the Supreme Leader of Iran, Ayatollah Ali Khamenei took position. Very worried about General Rezaei’s proposition, he was careful to delegitimise the religious war which was being prepared - the « clash of civilisations » - even if it meant blaming the presence of a woman at the head of a State. He was therefore careful to close the door on a military engagement by the Revolutionary Guard. He declared - « It is quite possible that religious fanaticism may have played a part in these events, but this is a completely political question, because it’s the government of Myanmar which is responsible. And at the head of this government, there is a cruel woman, a Nobel Peace Prize-winner. In reality, these events have signed the death notice of the Nobel Peace Prize » [15].
In Teheran, President Sheikh Hassan Rohani immediately called on the regular army to participate in the conflict which was being prepared. On 17 September, the Chiefs of Staff of the Iranian and Pakistani armies made contact in order to unite their forces in the crisis [16]. This is the first military initiative, but it concerns the Iranian army (which is already working with its Turkish and Pakistani counterparts to defend Qatar) and not the Revolutionary Guards (who are fighting alongside the Syrians against the jihadists). Iran is also providing massive aid to the refugees.
JPEG - 65.3 kb
Aung San Suu Kyi calls on international public opinion to take into account the efforts of Myanmar to resolve the question of the Rohingyas and denounce jihadist terrorism. She will be no more understood than was Mouamar Kadhafi when he denounced the attack on his country by Al-Qaïda (Naypyidaw, 19 September 2017).
On 19 September, ignoring the explanations of Aung San Suu Kyi [17], and profiting from the UN General Assembly, Recep Tayyip Erdoğan gathered the ICO contact group in order to request that all member States suspend all commerce with Myanmar, and to ask the UN Security Council to rule on the matter [18].
JPEG - 36.9 kb
Saudi Arabia has been protecting and supervising the Arakan Rohingya Salvation Army since 2013. King Salman has given 15 million dollars to Rohingya refugees in Bangladesh, where the training camps of the jihadist group are situated.
Finally appearing from the shadows, Saudi Arabia affirmed that they had been discreetly helping the Rohingyas for 70 years, and had already offered them 50 million dollars’ worth of aid during that time. King Salman also added a gift of 15 million dollars [19]. The Saudi ambassador to the UN in Geneva, Abdulaziz ben Mohammed Al-Wassil, mobilised the United Nations Human Rights Council (UNHRC).
Forgetting the wars they have been waging against one another - in Iraq, Syria and Yemen - Turkey, Iran and Saudi Arabia, in other words the three main Muslim military powers, joined together by simple communitarian reflex [20] and took position alongside the Rohingyas. All three of them named their common enemy – the coalition government of the Burmese army and Aung San Suu Kyi.
This total about-face in the Middle East has already seen a precedent – namely the wars in Yugoslavia. In Bosnia-Herzegovina (1992-95) and in Kosovo (1998-99), the Muslim countries and NATO fought side by side against the Orthodox Christians linked with Russia.
JPEG - 70.1 kb
In 1995, in Zenica, Oussama Ben Laden paraded the Arab League before President Alija Izetbegović. These combatants are ex-Mujahideens who fought the Soviets in Afghanistan. They later adopted the name of Al-Qaïda. During the war, the Russian Secret Services penetrated the barracks of the Arab Legion and found that all their documents were written in English, and not Arabic.
In Bosnia-Herzegovina, President Alija Izetbegović worked with US representative Richard Perle, who advised him on the diplomatic level and directed the Bosnian delegation during the Dayton Agreements. He also benefited, on the media level, from the advice of French representative Bernard-Henri Levy, according to Levy himself – and this has never been denied. Finally, on the military level, he relied on the advice of Saudi representative Oussama Ben Laden, who organised the Arab League on his behalf and received a Bosnian diplomatic passport. During the conflict, supported in secret by NATO, Izetbegović publicly received the support of Turkey, Iran and Saudi Arabia [21].
JPEG - 25.7 kb
Western public opinion accepted without question the violation of the United Nations Charter in Kosovo after having watched, powerless, the exodus of thousands of civilians.
The Kosovar conflict began with a terrorist campaign against Belgrade by the Kosovo Liberation Army (UÇK). The combatants were trained by German Special Forces on a NATO base in Turkey [22]. The current head of Turkish Secret Services, Hakan Fidan, was the liaison officer for the terrorists within the NATO military staff. He is today the head of MIT, the Turkish Secret Services, and the number 2 of the régime. At the beginning of the war, in the space of three days, 290,000 Kosovars fled Serbia to seek refuge in Macedonia. Western TV channels showed numerous clips of the long lines of refugees walking along railway tracks. However, according to several million Macedonians who welcomed them, there was no objective reason for this migration, which was carefully supervised by NATO. Nonetheless, this displacement of the population was used to accuse President Slobodan Milošević of disproportionally repressing the terrorist campaign affecting his country, and NATO declared war on him without the authorisation of the Security Council.
The dirty work currently in preparation will extend the theatre of operations towards the East. The Pentagon is unable to impose an alliance between Turkey, Iran and Saudi Arabia, but in fact, does not need one. In Yugoslavia, these three states were coordinated by NATO when they were not in direct contact.
However, the fact of fighting side by side in Burma will force them to find arrangements in Iraq, Syria and Yemen – perhaps even in Libya. Considering the devastation of the Middle East, and the tenacious resistance of the populations there, the Pentagon can leave the region to lick its wounds for a decade without fear of seeing the emergence of the slightest opposition to its policies.
The day after the Security Council meeting which laid the foundations for the future war against Burma, the State Secretariat informed President Barzani that the United States would not support the independence of an Iraqi Kurdistan. Of course, the Pentagon can not mobilise Turkey and Iran in South-East Asia while betraying them at their frontier. Consequently Massoud Barzani, who had engaged himself unequivocally for the referendum on independence, will soon have to retire from political life. Particularly since the display of Israëli flags at Erbil, massively relayed by the Arab, Persian and Turkish TV channels, has alienated every one of his neighbours.
If the Pentagon’s scenario continues to play out as we may anticipate, the war against Syria should soon end due to the lack of combatants, who will have gone overseas to serve the « American Empire » in a new theatre of operations.
Thierry Meyssan
Translation
Pete Kimberley
<:ver_imprimer:> Facebook Twitter Delicious Seenthis Digg RSS
[1] Source : The Pentagon’s New Map, Thomas P. M. Barnett, Putnam Publishing Group, 2004. Analysis : “The US military project for the world”, by Thierry Meyssan, Translation Pete Kimberley, Voltaire Network, 22 August 2017.
[2] « Myanmar : le Secrétaire général demande "une action rapide" pour mettre fin au "cauchemar" des Rohingya dans l’État de Rakhine », Compte-rendu du Conseil de sécurité, Onu, 28 septembre 2017. Référence : CS/13012.
[3] The United Kingdom and the United States have already drawn up the act of accusation against Myanmar, even before the current events: Countdown to Annihilation : Genocide in Myanmar, Penny Green, Thomas MacManus & Alicia de La Cour Venning, Queen Mary University of London, 2016. Persecution of the Rohingya Muslims ; Is Genocide Occurring in Myanmar’s Rakhine State ; a Legal Analysis, Allard Lowenstein, Yale University, 2016.
[4] « Birmanie : la sollicitude intéressée des États-Unis », par Thierry Meyssan, Abiad & Aswad (Syrie), Réseau Voltaire, 5 novembre 2007.
[5] The Burma Spring: Aung San Suu Kyi and the New Struggle for the Soul of a Nation, Rena Pederson, Foreword by Laura Bush, Pegasus, 2015.
[6] Neither Saffron Nor Revolution: A Commentated and Documented Chronology of the Monks’ Demonstrations in Myanmar in 2007 and Their Background, Hans-Bernd Zöllner, Humboldt-University, 2009.
[7] Burma/Myanmar: What Everyone Needs to Know, David Steinberg,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8] To be specific, there were Bengali immigrants in Burma before British domination, but the vast majority of Rohingyas are descendants of the workers displaced by the colonising power. (Author’s note).
[9] “Myanmar’s Rohingya insurgency has links to Saudi, Pakistan”, Simon Lewis, Reuters, December 16, 2016.
[10] “Speech by Aung San Suu Kyi at 71st UN General Assembly”, by Aung San Suu Kyi, Voltaire Network, 21 September 2016.
[11] Towards a peaceful, fair and prosperous future for the people of Rakhine, Advisory Commission on Rakhine State, August 2017.
[12] “We won’t Leave Rohingya Muslims Alone”, Presidency of the Republic of Turkey, September 1, 2017.
[13] “Rezaei urges Muslim states to defend Rohingya Muslims”, Mehr Agency, September 6, 2017.
[14] “Bangladesh offers Myanmar army aid against Rohingya rebels”, AFP, August 29, 2017.
[15] « Myanmar : le Guide critique les défenseurs des droits de l’homme », Leader.ir, 12 septembre 2017.
[16] “Iranian, Pakistani Top Military Commanders Stress Need for Ending Myanmar Muslims’ Plights”, Fars News, September 17, 2017.
[17] “Aung San Suu Kyi speech on National Reconciliation and Peace”, by Aung San Suu Kyi, Voltaire Network, 19 September 2017.
[18] «OIC Contact Group on Rohingya calls for UN Resolution on Myanmar», Organisation of Islamic Cooperation, September 19, 2017.
[19] « Le Serviteur des Deux Saintes Mosquées accorde un don de 15 millions de dollars aux réfugiés Rohingyas », Saudi Press Agency, September 19, 2017.
[20] The Rohingyas : Inside Myanmar’s Hidden Genocide, Azeem Ibrahim, Hurst, 2016.
[21] Comment le Djihad est arrivé en Europe, Jürgen Elsässer, préface de Jean-Pierre Chevènement, éditions Xenia, 2006.
[22] « L’UÇK, une armée kosovare sous encadrement allemand », par Thierry Meyssan, Notes d’information du Réseau Voltaire, 15 avril 1999.
Political Islam against China
by Thierry Meyssan
http://www.voltairenet.org/article198141.html
You are probably aware that you are incompletely informed about what is brewing in Myanmar, and you probably haven’t heard about the military coalition that is preparing to attack that country. And yet, as Thierry Meyssan reveals here, these current events have been in preparation by Riyadh and Washington since 2013. Don’t take sides before you read this article and digest the information.
...
ccording to the US chief of Staff, Myanmar is part of the zone to be destroyed (map published by Thomas P. M. Barnett in 2003).
Pursuing its Grand Strategy of extending the theatre of war [1], the Pentagon is at the same time preparing the instrumentation of the Kurds in the Greater Middle East, a civil war in Venezuela and a war of attrition in the Philippines. However, these conflicts will have to wait for the implementation of a fourth theatre of operations – namely Burma, China’s next-door neighbour.
JPEG - 54.2 kb
On 28 September at the Security Council, Jeffrey Feltman, the number 2 of the UNO, takes part in the debates, next to Secretary General António Guterres. After having personally supervised the aggression against Syria, he now intends to organiser the attack on Burma. Ex-US civil servant, Feltman was the assistant to Hillary Clinton.
During the meeting of the UN Security Council on 28 September, the US ambassador and several of her allies accused Myanmar’s coalition government of « genocide » [2]. This loaded word – which, in European law, designates the massacre of a great number of people, but in US law applies to a method of killing, even if the criminal kills only one person - is enough for Washington to justify a war, with or without the backing of the Security Council, as we saw in Yugoslavia [3]. The meeting of the Security Council was held at the request of the Organisation of Islamic Cooperation (OIC).
JPEG - 52.1 kb
Since 2013, the Western medias have been taking care to present Buddhism as a sectarian movement. The photo shows the monk Ashin Wirathu, condemned in 2003 to 25 years of imprisonment because of his anti-Muslim preaching. He benefited from the general amnesty in 2012. It is not difficult to find fanatics in any religion.
In order to make the facts correspond to their narrative,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and France, which had celebrated Aung San Suu Kyi and the Buddhist monks for their non-violent resistance to the dictatorship of the State Law and Order Restoration Council (SLORC) during the « Saffron revolution » in 2007 [4], simply redefined the Burmese army, Nobel Peace Prize-winner Aung San Suu Kyi [5], and all the Buddhists in the country [6] as “the bad guys”.
Burma has not known civil peace since the days of foreign domination, first British and then Japanese [7]. It has become easier to destabilise since the SLORC junta agreed to share power with the National League for Democracy (NLD), and together are trying to resolve the country’s many conflicts in a peaceful way.
JPEG - 18.5 kb
Indispensable to the Chinese economy, the Yunnan pipe-lines reach the Pacific coast in the Arakan/Rakhine province.
By a geographical coincidence, Burma allows the passage across its territory of the pipe-line linking Chinese Yunnan to the Bay of Bengal, and houses the Chinese electronic surveillance posts for the naval routes which near its coasts. Making war in Burma is therefore more important for the Pentagon than blocking the two « Silk Roads » in the Middle East and Ukraine. An inheritance of British colonisation, there are also, among the distinct Burmese population, 1.1 million descendants of the workers that London had displaced from Bengal to Burma – the Rohingyas [8]. It happens that this national – not ethnic – minority is Muslim, although the great majority of Burmese people is Buddhist. Finally, during the Second World War, the Rohingyas collaborated with India against Burmese nationalists.
JPEG - 61.3 kb
Perfectly equipped, the Faith Movement, or Arakan Rohingya Salvation Army, is trained by the British in Saudi Arabia and Bangladesh. Before the beginning of current events, it numbered at least 5,000 soldiers.
In 2013, when the Pentagon and the CIA had deployed the jihadist hordes in Syria and maintained a war of position, Saudi Arabia created yet another terrorist organisation in Mecca, the Faith Movement (Harakah al-Yaqin). This group, which declared that it was an assembly for the Rohingyas, is in reality commanded by the Pakistani Ata Ullah, who fought the Soviets in Afghanistan [9]. The Saudi regime housed the largest community of male Rohingyas, after Burma and before Bangladesh, with 300,000 male workers without their families.
According to a report by the Benagli intelligence services, before the current crisis, the Faith Movement had been working for a year with a spin-off group of the Bengali Jamat-ul-Mujahideen around the slogan « Bengali Jihad in Baghdad ». This tiny group pays allegiance to the Caliph of Daesh, Abou Bakr al-Baghdadi, and has gathered in the same coalition the Indian Mujahideen, Al-Jihad, Al-Ouma, the Students’ Islamic Movement of India (SIMI), the Lashkar-e-Toiba (LeT) and the Pakistani Harkat-ul Jihad-al Islami (HuJI). The group is financed by the foundation Revival of Islamic Heritage Society (RIHS) in Kuwait. When, less than a year and a half ago, in March 2016, the SLORC accepted to share power with Aung San Suu Kyi’s party, the United States attempted to use the Nobel Peace Prize-winner against Chinese interests. Knowing that it would be difficult to manipulate the daughter of the father of Burmese independence, the communist Aung San, they encouraged the Faith Movement - « …you never know … ».
JPEG - 72.4 kb
In September 2016, Aung San Suu Kyi came to explain her efforts in favour of the Rohingyas before the General Assembly of the United Nations. Like her father Aung San, who believed for a moment that he might receive Japanese aid to free his country from British colonisation, the Nobel Peace Prize-winner naïvely imagined that she had the sympathy of the Anglo-Saxons to solve Myanmar’s internal problems.
In September 2016, Aung San Suu Kyi represented her country at the UN General Assembly [10]. Naïvely, she explained the problems faced by her people and the means she was setting up to resolve these difficulties progressively, beginning with the question of the Rohingyas. Once back home, she realised that her former US supporters were in reality the enemies of her country. The Faith Movement launched a series of terrorist attacks, including the attack on the Maungdaw border police station, where 400 terrorists plundered the arsenal, killing 13 customs officers and soldiers.
Resolute, Aung San Suu Kyi pursued the implementation of an advisory committee tasked with analysing the Rohingya question, and ending the discrimination under which they suffered. This committee was composed of six Burmans and three foreigners – Dutch ambassador Laetitia van den Assum, Lebanese ex-Minister Ghassan Salame (in reality representing France), and ex-UN Secretary General Kofi Annan, acting as President of the committee.
JPEG - 72.8 kb
The nine committee members began work of a rare quality, despite the Burmese obstacles. Political parties failed to have the committee dissolved by the National Assembly, but managed to force the adoption of a motion of no confidence against the committee by the local Assembly of Arakan (the state inhabited by the Rohingyas). Nevertheless, the committee members handed in their report on 25 August - it contained genuine recommendations which could actually be implemented with the true goal of improving the living conditions of all concerned [11].
The same day, the Saudi and US Secret Services gave the signal for the riposte - the Faith Movement, renamed by the British the « Arakan Rohingya Salvation Army » and divided into commandos, attacked army barracks and police stations, causing 71 deaths. For a week, Burmese troops waged an anti-terrorist operation against the jihadists. 400 members of their families fled to Bangladesh.
JPEG - 59.1 kb
The President of the Organisation of Islamic Cooperation, Recep Tayyip Erdoğan, opens the world-wide media campaign to save the Rohingyas (Istanbul, 1 September 2017).
Three days later, Turkish President Recep Tayyip Erdoğan began to telephone all the heads of state of the Muslim countries to alert them about the « genocide of the Rohingyas ». On 1 September, the day of the most important Muslim holiday, the Aïd al-Adha, acting as serving President of the Organisation of Islamic Cooperation, he gave a vibrant speech in Istanbul calling to save the Rohingyas and support their Salvation Army [12].
However, the jihadists have done nothing to defend the Rohingyas, but have systematically intervened to sabotage the attempts to improve their living conditions and end the discriminations under which they suffer.
JPEG - 16.2 kb
General Mohsen Rezaei was the commander of the Revolutionary Guard which fought alongside NATO and Saudi Arabia during the war in Bosnia-Herzegovina against Serbia.
On 5 September, the President of the Iranian Expediency Discernment Council, Mohsen Rezaei, proposed joining the forces of all Muslim states to create an Islamic army to save the « Rohingya brothers » [13]. A position which carries all the more weight since General Rezaei is an ex-Commander of the Revolutionary Guard.
While the Burmese army had ceased all activity against the terrorists, Rohingya villages were burned, and the Rakhine population of Arakan lynched Muslims, who in their eyes were all accomplices of the terrorists. According to the Rohingyas, it was the Burmese army who burned the villages, while according to the Burmese army, it was the jihadists. Progressively, all the Rohingyas from the North of Arakan took to the road seeking refuge in Bangladesh – but, curiously enough, not the Rohingyas from the South of the State.
JPEG - 38 kb
On 6 September, an official Turkish delegation went to Bangladesh to distribute provisions to the refugees. It was led by the Minister for Foreign Affairs, Mevlüt Çavuşoğlu, and by the wife and the son of President Erdoğan, Bilal and Ermine.
JPEG - 46 kb
The campaign of communitary mobilisation in the Muslim countries relies on some particularly shocking visuals. This photograph was published by the Turkish government. It is supposed to show the Muslim victims of Buddhist monks in Burma. It is in fact an old photo of a funeral ceremony for the victims of an earthquake in China.
In the Muslim countries, a vast campaign of disinformation claimed, with photo support, that the Buddhists were killing Muslims en masse. Of course, none of these photos had been taken in Burma, and the fake news reports were debunked one after the other. But in countries where the population is poorly educated, the photos were deemed authentic, while the denials were hardly mentioned. Only Bangladesh voiced reservations about the role of the jihadists, and assured Myanmar of its cooperation against the terrorists [14].
On 11 September, the serving President of the Islamic Conference Organisation (ICO), Recep Tayyip Erdoğan, spoke before the Organisation’s scientific committee meeting at Astana (Kazakhstan) - which is not competent in the matter - « to save the Rohingyas ».
JPEG - 57.6 kb
For Ayatollah Ali Khamenei, the military engagement of his country alongside NATO and Saudi Arabia in Burma would be a catastrophe. Particularly since Iran has a thousand-year history of cooperation with China.
On the following day, 12 September, the Supreme Leader of Iran, Ayatollah Ali Khamenei took position. Very worried about General Rezaei’s proposition, he was careful to delegitimise the religious war which was being prepared - the « clash of civilisations » - even if it meant blaming the presence of a woman at the head of a State. He was therefore careful to close the door on a military engagement by the Revolutionary Guard. He declared - « It is quite possible that religious fanaticism may have played a part in these events, but this is a completely political question, because it’s the government of Myanmar which is responsible. And at the head of this government, there is a cruel woman, a Nobel Peace Prize-winner. In reality, these events have signed the death notice of the Nobel Peace Prize » [15].
In Teheran, President Sheikh Hassan Rohani immediately called on the regular army to participate in the conflict which was being prepared. On 17 September, the Chiefs of Staff of the Iranian and Pakistani armies made contact in order to unite their forces in the crisis [16]. This is the first military initiative, but it concerns the Iranian army (which is already working with its Turkish and Pakistani counterparts to defend Qatar) and not the Revolutionary Guards (who are fighting alongside the Syrians against the jihadists). Iran is also providing massive aid to the refugees.
JPEG - 65.3 kb
Aung San Suu Kyi calls on international public opinion to take into account the efforts of Myanmar to resolve the question of the Rohingyas and denounce jihadist terrorism. She will be no more understood than was Mouamar Kadhafi when he denounced the attack on his country by Al-Qaïda (Naypyidaw, 19 September 2017).
On 19 September, ignoring the explanations of Aung San Suu Kyi [17], and profiting from the UN General Assembly, Recep Tayyip Erdoğan gathered the ICO contact group in order to request that all member States suspend all commerce with Myanmar, and to ask the UN Security Council to rule on the matter [18].
JPEG - 36.9 kb
Saudi Arabia has been protecting and supervising the Arakan Rohingya Salvation Army since 2013. King Salman has given 15 million dollars to Rohingya refugees in Bangladesh, where the training camps of the jihadist group are situated.
Finally appearing from the shadows, Saudi Arabia affirmed that they had been discreetly helping the Rohingyas for 70 years, and had already offered them 50 million dollars’ worth of aid during that time. King Salman also added a gift of 15 million dollars [19]. The Saudi ambassador to the UN in Geneva, Abdulaziz ben Mohammed Al-Wassil, mobilised the United Nations Human Rights Council (UNHRC).
Forgetting the wars they have been waging against one another - in Iraq, Syria and Yemen - Turkey, Iran and Saudi Arabia, in other words the three main Muslim military powers, joined together by simple communitarian reflex [20] and took position alongside the Rohingyas. All three of them named their common enemy – the coalition government of the Burmese army and Aung San Suu Kyi.
This total about-face in the Middle East has already seen a precedent – namely the wars in Yugoslavia. In Bosnia-Herzegovina (1992-95) and in Kosovo (1998-99), the Muslim countries and NATO fought side by side against the Orthodox Christians linked with Russia.
JPEG - 70.1 kb
In 1995, in Zenica, Oussama Ben Laden paraded the Arab League before President Alija Izetbegović. These combatants are ex-Mujahideens who fought the Soviets in Afghanistan. They later adopted the name of Al-Qaïda. During the war, the Russian Secret Services penetrated the barracks of the Arab Legion and found that all their documents were written in English, and not Arabic.
In Bosnia-Herzegovina, President Alija Izetbegović worked with US representative Richard Perle, who advised him on the diplomatic level and directed the Bosnian delegation during the Dayton Agreements. He also benefited, on the media level, from the advice of French representative Bernard-Henri Levy, according to Levy himself – and this has never been denied. Finally, on the military level, he relied on the advice of Saudi representative Oussama Ben Laden, who organised the Arab League on his behalf and received a Bosnian diplomatic passport. During the conflict, supported in secret by NATO, Izetbegović publicly received the support of Turkey, Iran and Saudi Arabia [21].
JPEG - 25.7 kb
Western public opinion accepted without question the violation of the United Nations Charter in Kosovo after having watched, powerless, the exodus of thousands of civilians.
The Kosovar conflict began with a terrorist campaign against Belgrade by the Kosovo Liberation Army (UÇK). The combatants were trained by German Special Forces on a NATO base in Turkey [22]. The current head of Turkish Secret Services, Hakan Fidan, was the liaison officer for the terrorists within the NATO military staff. He is today the head of MIT, the Turkish Secret Services, and the number 2 of the régime. At the beginning of the war, in the space of three days, 290,000 Kosovars fled Serbia to seek refuge in Macedonia. Western TV channels showed numerous clips of the long lines of refugees walking along railway tracks. However, according to several million Macedonians who welcomed them, there was no objective reason for this migration, which was carefully supervised by NATO. Nonetheless, this displacement of the population was used to accuse President Slobodan Milošević of disproportionally repressing the terrorist campaign affecting his country, and NATO declared war on him without the authorisation of the Security Council.
The dirty work currently in preparation will extend the theatre of operations towards the East. The Pentagon is unable to impose an alliance between Turkey, Iran and Saudi Arabia, but in fact, does not need one. In Yugoslavia, these three states were coordinated by NATO when they were not in direct contact.
However, the fact of fighting side by side in Burma will force them to find arrangements in Iraq, Syria and Yemen – perhaps even in Libya. Considering the devastation of the Middle East, and the tenacious resistance of the populations there, the Pentagon can leave the region to lick its wounds for a decade without fear of seeing the emergence of the slightest opposition to its policies.
The day after the Security Council meeting which laid the foundations for the future war against Burma, the State Secretariat informed President Barzani that the United States would not support the independence of an Iraqi Kurdistan. Of course, the Pentagon can not mobilise Turkey and Iran in South-East Asia while betraying them at their frontier. Consequently Massoud Barzani, who had engaged himself unequivocally for the referendum on independence, will soon have to retire from political life. Particularly since the display of Israëli flags at Erbil, massively relayed by the Arab, Persian and Turkish TV channels, has alienated every one of his neighbours.
If the Pentagon’s scenario continues to play out as we may anticipate, the war against Syria should soon end due to the lack of combatants, who will have gone overseas to serve the « American Empire » in a new theatre of operations.
Thierry Meyssan
Translation
Pete Kimberley
<:ver_imprimer:> Facebook Twitter Delicious Seenthis Digg RSS
[1] Source : The Pentagon’s New Map, Thomas P. M. Barnett, Putnam Publishing Group, 2004. Analysis : “The US military project for the world”, by Thierry Meyssan, Translation Pete Kimberley, Voltaire Network, 22 August 2017.
[2] « Myanmar : le Secrétaire général demande "une action rapide" pour mettre fin au "cauchemar" des Rohingya dans l’État de Rakhine », Compte-rendu du Conseil de sécurité, Onu, 28 septembre 2017. Référence : CS/13012.
[3] The United Kingdom and the United States have already drawn up the act of accusation against Myanmar, even before the current events: Countdown to Annihilation : Genocide in Myanmar, Penny Green, Thomas MacManus & Alicia de La Cour Venning, Queen Mary University of London, 2016. Persecution of the Rohingya Muslims ; Is Genocide Occurring in Myanmar’s Rakhine State ; a Legal Analysis, Allard Lowenstein, Yale University, 2016.
[4] « Birmanie : la sollicitude intéressée des États-Unis », par Thierry Meyssan, Abiad & Aswad (Syrie), Réseau Voltaire, 5 novembre 2007.
[5] The Burma Spring: Aung San Suu Kyi and the New Struggle for the Soul of a Nation, Rena Pederson, Foreword by Laura Bush, Pegasus, 2015.
[6] Neither Saffron Nor Revolution: A Commentated and Documented Chronology of the Monks’ Demonstrations in Myanmar in 2007 and Their Background, Hans-Bernd Zöllner, Humboldt-University, 2009.
[7] Burma/Myanmar: What Everyone Needs to Know, David Steinberg,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8] To be specific, there were Bengali immigrants in Burma before British domination, but the vast majority of Rohingyas are descendants of the workers displaced by the colonising power. (Author’s note).
[9] “Myanmar’s Rohingya insurgency has links to Saudi, Pakistan”, Simon Lewis, Reuters, December 16, 2016.
[10] “Speech by Aung San Suu Kyi at 71st UN General Assembly”, by Aung San Suu Kyi, Voltaire Network, 21 September 2016.
[11] Towards a peaceful, fair and prosperous future for the people of Rakhine, Advisory Commission on Rakhine State, August 2017.
[12] “We won’t Leave Rohingya Muslims Alone”, Presidency of the Republic of Turkey, September 1, 2017.
[13] “Rezaei urges Muslim states to defend Rohingya Muslims”, Mehr Agency, September 6, 2017.
[14] “Bangladesh offers Myanmar army aid against Rohingya rebels”, AFP, August 29, 2017.
[15] « Myanmar : le Guide critique les défenseurs des droits de l’homme », Leader.ir, 12 septembre 2017.
[16] “Iranian, Pakistani Top Military Commanders Stress Need for Ending Myanmar Muslims’ Plights”, Fars News, September 17, 2017.
[17] “Aung San Suu Kyi speech on National Reconciliation and Peace”, by Aung San Suu Kyi, Voltaire Network, 19 September 2017.
[18] «OIC Contact Group on Rohingya calls for UN Resolution on Myanmar», Organisation of Islamic Cooperation, September 19, 2017.
[19] « Le Serviteur des Deux Saintes Mosquées accorde un don de 15 millions de dollars aux réfugiés Rohingyas », Saudi Press Agency, September 19, 2017.
[20] The Rohingyas : Inside Myanmar’s Hidden Genocide, Azeem Ibrahim, Hurst, 2016.
[21] Comment le Djihad est arrivé en Europe, Jürgen Elsässer, préface de Jean-Pierre Chevènement, éditions Xenia, 2006.
[22] « L’UÇK, une armée kosovare sous encadrement allemand », par Thierry Meyssan, Notes d’information du Réseau Voltaire, 15 avril 1999.
Wednesday, June 07, 2017
달리기와 승마
겨울과 봄을 지나면서 불린 과체중이라서,
종아리 근육에 부하를 줘서 문제가 생기면 3~4주는 제대로 뛰지 못하는 현상이 2년째 늦봄-이른여름에 나타난다.
두번다 왼쪽과 오른쪽이 연속해서 발생하는데, 이 때문에 2달은 운동을 못한다.
해서 올해는 운동때, '근육통에 주의깊게 신경을 썻고 징조가 나올때 바로 운동을 멈췄다'. 지난주에 1번 겪었고 그때문에 1주일에 1~2회를 주 3~4회로 횟수를 늘렸다.
2년간 좌-우가 다 왔었기 때문에 매번 주의깊게 근육통에 신경써야 한다.
운동시간 매5분,10분마다 근육상태를 '느껴'=='딴 생각에 빠지지 않고 일정시간마다 집중'해야 한다.
특히 운동시작 후 10분은 반드시 의식해서 근육을 강하게 움직이지 않도록 해야하고,생각을 운동에 집중해야 한다.
조깅을 시작하면서 '승마'를 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는데,몸이 말처럼 느껴진다는 것이다. 생각과 의식은 몸위에 있다는 생각-느낌이 든다. 근육의 상태를 5~10분만다 확인해야 한다는 건 의식의 또 다른 걸 생각하게 한다.
Thursday, February 23, 2017
google notice to blogger users - with cookie
유럽 연합 법규는 유럽 연합 방문자에게 블로그에 사용되는 쿠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규제하고 있습니다. 또한 대부분의 경우 이러한 법규는 사용자의 동의를 얻도록 요구합니다.
이 규제를 준수할 수 있도록 Google은 귀하의 블로그에 Google이 특정 Blogger를 사용하며 Google 애널리틱스와 애드센스 쿠키를 비롯한 Google 쿠키를 사용한다는 것을 알리는 공지사항을 추가했습니다.
귀하는 이 공지사항이 블로그에 실제로 적용되고 표시되도록 할 책임이 있습니다. 타사 제품의 기능을 추가하는 등 다른 쿠키를 사용하는 경우 이 공지사항이 귀하에게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공지사항 및 책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기
이 규제를 준수할 수 있도록 Google은 귀하의 블로그에 Google이 특정 Blogger를 사용하며 Google 애널리틱스와 애드센스 쿠키를 비롯한 Google 쿠키를 사용한다는 것을 알리는 공지사항을 추가했습니다.
귀하는 이 공지사항이 블로그에 실제로 적용되고 표시되도록 할 책임이 있습니다. 타사 제품의 기능을 추가하는 등 다른 쿠키를 사용하는 경우 이 공지사항이 귀하에게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공지사항 및 책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기
Thursday, January 17, 2013
G20 과 노인요양시설 화재 사건
아침 운동하면서 늘 TV와 컴퓨터 보는데...
RSS에서 "노인요양시설에 화재, 십수명 사망에 부상이 또 십수명"이란다.
해서 TV를 보는데, 자막으로 노인요양시설 화재... 이렇게 나오고,
계속 앵무새는 심수강산 고목 쪼는 딱다구리 소리만 한다.
코엑스에 뭘 둘러치고, 주위 카메라에 같은 말만 되뇌이
영양가 없는 저런 얘기 보다는 노인요양시설 얘기가 궁금했다.
얼마전 칠레 광부들의 매몰 생환 소식 얘기가 문득 머리를 스쳐간다.
아, "우리"는 감동이 없다. "우리"라는 말이 낯설게 느껴진다.
비온 후가을 아침의 단풍은 분명 예전과 같은데...
인간들은 예전과 한참이나 다르구나
RSS에서 "노인요양시설에 화재, 십수명 사망에 부상이 또 십수명"이란다.
해서 TV를 보는데, 자막으로 노인요양시설 화재... 이렇게 나오고,
계속 앵무새는 심수강산 고목 쪼는 딱다구리 소리만 한다.
코엑스에 뭘 둘러치고, 주위 카메라에 같은 말만 되뇌이
영양가 없는 저런 얘기 보다는 노인요양시설 얘기가 궁금했다.
얼마전 칠레 광부들의 매몰 생환 소식 얘기가 문득 머리를 스쳐간다.
아, "우리"는 감동이 없다. "우리"라는 말이 낯설게 느껴진다.
비온 후가을 아침의 단풍은 분명 예전과 같은데...
인간들은 예전과 한참이나 다르구나
우리 동네 구제역 방역 풍경
얼마전 시골 집에 갔다.
뉴스로 듣고 '설마...' 했는데, 마을 입구에 들어서자마자 놀랬다.
마을입구 옆에 벙커를 쳐 놓고 앞에는 문을 달아놨다.
문 옆에는 약통과 약장대가 있고 추위로
약물이 얼지 않도록 불을 피워 놓았다.
출입이 띄엄한 곳이라 약은 반 수동으로 작동한다.
그나마 전기가 들어와서 차가 오면 모터를 키고 약을 뿌리는데,
혹시 약장대의 물이 얼어 있기라도 한다면 녹이는 게 쉬운 것만은 아닌 듯 싶다.
아침 7시부터 밤 9시까지 5~6명이 모여 5일 교대로 지킨다.
우회 도로는 아얘 대형 차로 막아 놨다.
세상이 어수선하다는 말이 생각난다.
동내를 나서 마을 입구에 방역복을 입은
칠순을 훌쩍 넘기신 아버지 사진을 차마 찍지 못하겠더라..
' 아, 내가 새상을 잘못 살고있는 건 아닌가...'
누가 정치를 잘못한 건 알겠는데,
뜨아한건 아무도 누구 잘못인지 왜 라는 말조차 잊고 있다.
뉴스로 듣고 '설마...' 했는데, 마을 입구에 들어서자마자 놀랬다.
마을입구 옆에 벙커를 쳐 놓고 앞에는 문을 달아놨다.
문 옆에는 약통과 약장대가 있고 추위로
약물이 얼지 않도록 불을 피워 놓았다.
출입이 띄엄한 곳이라 약은 반 수동으로 작동한다.
그나마 전기가 들어와서 차가 오면 모터를 키고 약을 뿌리는데,
혹시 약장대의 물이 얼어 있기라도 한다면 녹이는 게 쉬운 것만은 아닌 듯 싶다.
아침 7시부터 밤 9시까지 5~6명이 모여 5일 교대로 지킨다.
우회 도로는 아얘 대형 차로 막아 놨다.
세상이 어수선하다는 말이 생각난다.
동내를 나서 마을 입구에 방역복을 입은
칠순을 훌쩍 넘기신 아버지 사진을 차마 찍지 못하겠더라..
' 아, 내가 새상을 잘못 살고있는 건 아닌가...'
누가 정치를 잘못한 건 알겠는데,
뜨아한건 아무도 누구 잘못인지 왜 라는 말조차 잊고 있다.
침묵의 댓가
여름 휴가 기간이라 계곡 어디든 개미굴마냥 사람들이 북적였고, 그 옛날 티비속에서나 봤던 바캉스 분위기들이다. 그리고 충주호를 지난날 댐건설로 수몰된 자들의 기리는 탑이 청승맞게 서 있다.
고향 봉화와 영주엔 댐.. 소수력 발전한다고 또 수몰 된다고 한다. 그리고 거리는 조금 떨어졌지만 1박2일에 나왔던 강이 굽이쳐 흐르는 곳은 파헤쳐 진다고 한다.
솔직히 강을 파고, 막아서 별반 이득 될건 없다고 나빠지는 것만 쭉 있다.
파먹을 거 없다고 집 버리고 간 사람들이 남겨 놓은 곳... 그런 곳에 누구 좋고 편리하고 잘된다고 하는 짓들이 아니라 나쁜 목적이 있음에 틀림 없다.
조금의 불편을 감수하면 더 많은 이득이 있는데, 왜들 그럴까...
뻔한 답이지만 얘기하는 사람이 없다.
"한다고 하니, 놔두는 수밖에.."
그말이 전부다.
때문에 환갑, 진갑 넘은 노인네들이 5일에 14시간씩 추위에 떨어야 현실의 고통과 연결짓지 못한다. 당연한 삶의 하나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힘들고 어려웠던 시절을 살아온 이들의 삶이다.
살아오면서 아버지와 정치적 얘기를 해본적이 없었지만, 댐 얘기 나와서 나도 모르게 얘기가 나왔다.
"잘못된 댐을 왜 자꾸 만드는지 모르겠어요.
이번에 안동댐도 트고...
동내 옆 소수력 발전한다는 그 댐도 허물었으면 좋겠어요"
적잖게 놀라는 눈치였지만 내색도 않고 가타부타 말도 없다. 황급히
"좋아진거 보다는 나빠진것 밖에 없으니 뭐... " 하고 얼버무렸다.
어릴적... 동내사람들이 강에서 잡은 고기를 나눠 주던 시절이 생각난다. 그때는 넓디넓은 강을 따라 사람들이 놀러 다녔고, 지금의 동내 사람들보다 2~3배는 많았었다. 4계절 어느때고 사람들이 가는 곳이 였다.
지금은 여름엔 지정된 곳만 갈 수 있다. 왠지 그런 여름 모습을 보면 아직도 좋은 곳이건만 똥뚜깐 파링가 웽웽거리는 모습이 떠오른다.
분명 내가 잘못 살아온 듯 싶다.
나 편한데로 살면 된다고 생각했는데... 벌써 너무 늦어버린 것 같은 후회가 든다.
Wow!!! Inhabitant of Seoul
Total: 10,039,000 Person that mean inhabit 16,586 Person in 1 ㎢ area
2010년 서울시 인구는 약 1천 3만 9천 명이고 1㎢당 16,586명이 살고 있음
출처: http://www.index.go.kr
http://www.index.go.kr/egams/stts/jsp/potal/stts/PO_STTS_IdxMain.jsp?idx_cd=1007
구제역 - 소 닭 보듯 하다
십년쯤 전이다. 봉화 산골 소귀에도 꼬리표가 달렸다.
'세상이 변하나..' 했다.
작년말을 지나면서 그막그막했던 구제역이 작은 섬나라를 쓸어버렸다.
역시 세상은 그대로 인가..
옛날부터 농가에 묶인 몇마리 소는 노동력이고 식구였다.
소가 몇마리가 더 되면 마음이 바빠지고 이웃 같아진다.
소가 십수마리가 되면 목축업자가 되는데, 방목지가 없는 소는 땅위의 양식어장 물고기 같은 모습이 된다.
소가 십수마리를 훌쩍 넘어서 부터는 공장이 된다. 해서 업자화된다.
수십년 한두마리의 소를 키워온 사람은 그것이 전부인 보수가 되고, 십수마리를 넘어서는 사람은 뿌띠브루주아가 되기위해 바늘귀를 통과하는 힘겨운 삶을 살아야 하는 사람들이다. 이를 지난 사람은 비로소 그 땅을 뒤쳐나와 업자가 된다.
... 이런 얘기는 이젠 지겹다..
소 귀에 붙인 생산자, 유통 태그를 정말 이폼인가 저폼인가
(Not a form but a gesture!)
구제역이 창궐할때 "이젠 할것 다했다"고 하던 것이 지나고 나서는 "메뉴얼이 없었다" 고 한다.
소에 붙인 태그는 오로지 고기 먹는 관리만 있었지,
병이나 품종 관리는 없었다는 것은 거짓일 것이다.
결국 관리를 잘못 했다는 말인데, 농가.. 아니 업자의 해외 이력관리라고 한다면
이 관리라는 것이 누구가 잘못한 것인지 명확해 진다.
문제가 계속 커지고 있었는데도 바로 잡기는 커녕 이를 이용하는 자가 있다고 한다면 정말 큰 문제가 아닌가
이 섬 나라는 아직도 이런 사람들이 득세하고 있다.
'세상이 변하나..' 했다.
작년말을 지나면서 그막그막했던 구제역이 작은 섬나라를 쓸어버렸다.
역시 세상은 그대로 인가..
옛날부터 농가에 묶인 몇마리 소는 노동력이고 식구였다.
소가 몇마리가 더 되면 마음이 바빠지고 이웃 같아진다.
소가 십수마리가 되면 목축업자가 되는데, 방목지가 없는 소는 땅위의 양식어장 물고기 같은 모습이 된다.
소가 십수마리를 훌쩍 넘어서 부터는 공장이 된다. 해서 업자화된다.
수십년 한두마리의 소를 키워온 사람은 그것이 전부인 보수가 되고, 십수마리를 넘어서는 사람은 뿌띠브루주아가 되기위해 바늘귀를 통과하는 힘겨운 삶을 살아야 하는 사람들이다. 이를 지난 사람은 비로소 그 땅을 뒤쳐나와 업자가 된다.
... 이런 얘기는 이젠 지겹다..
소 귀에 붙인 생산자, 유통 태그를 정말 이폼인가 저폼인가
(Not a form but a gesture!)
구제역이 창궐할때 "이젠 할것 다했다"고 하던 것이 지나고 나서는 "메뉴얼이 없었다" 고 한다.
소에 붙인 태그는 오로지 고기 먹는 관리만 있었지,
병이나 품종 관리는 없었다는 것은 거짓일 것이다.
결국 관리를 잘못 했다는 말인데, 농가.. 아니 업자의 해외 이력관리라고 한다면
이 관리라는 것이 누구가 잘못한 것인지 명확해 진다.
문제가 계속 커지고 있었는데도 바로 잡기는 커녕 이를 이용하는 자가 있다고 한다면 정말 큰 문제가 아닌가
이 섬 나라는 아직도 이런 사람들이 득세하고 있다.
네가 하는 것이 죄!
부산지역 저축은행 영업정지와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
해당 은행 앞은 돈 찾으려 줄선 사람들이 장사진이다.
...
은행 관계자 김모씨, 은행 앞에서 확성기 들고 왈,
"여러-분~~ 계속 돈 찾아 가시면 망한다니까요"
"문 닫고 망하게 할꺼라니까요!"
줄선 이가 한말 한다.
"바보아냐... 그러니깐 빨리 찾을려고 줄 섰지."
...
해당 은행 앞은 돈 찾으려 줄선 사람들이 장사진이다.
...
은행 관계자 김모씨, 은행 앞에서 확성기 들고 왈,
"여러-분~~ 계속 돈 찾아 가시면 망한다니까요"
"문 닫고 망하게 할꺼라니까요!"
줄선 이가 한말 한다.
"바보아냐... 그러니깐 빨리 찾을려고 줄 섰지."
수돗물 불소 섞기
불소가 물에 일정량 들어가면 보약이라하는 자가 있는 반면
근거가 없는 소리이기 신체 이상을 유발할 수 있다고 하는 자도 있다.
뭐라해도 좋다.
하지만 수돗물에 불소 넣는다는 생각은 잘못됐다.
불소가 충치를 예방하면 불소를 사 먹으면 된다.
위험하고 유통에 애로가 있다면 처방을 해 주면 된다.
약국, 보건소, 반상회, 슈퍼, 민방위대.... 유통 경로.. 아주 많다.
나눠주고 복용자들 건강도 쭉 파악하고 얼마나 좋은가!!!
상수시설에 불소 뿌리고 관리하는 비용보다 싸고 쉽고 일자리도 많아진다.
다만 기존 사업의 부가사업이 아니라 그것이 문제일 뿐이다.
당장 충치가 걱정인 이들에겐 치약을 나눠줘라.
아무리 좋다고 해도 싫다면 어쩔 수 없는 것이 세상사인데...참말 한심타
삼국유사에 비류가 인천지역에 자리를 잡아 나라를 도모했다고 한다..
그러다 땅이 질척하고 소금끼가 있어 여의치 않아 온조이 정착한
지금의 한강 유역으로 세력이 합쳐졌다한다.
불소하고는 별 상관없는 얘기인데, 인천지역 상수도에 불소를 섞는다니
생각이 났다.
상식이지만 말 만들어 가다 보면 상식이 어리해 진다.
사회비용만 늘어나는 곳...
근거가 없는 소리이기 신체 이상을 유발할 수 있다고 하는 자도 있다.
뭐라해도 좋다.
하지만 수돗물에 불소 넣는다는 생각은 잘못됐다.
불소가 충치를 예방하면 불소를 사 먹으면 된다.
위험하고 유통에 애로가 있다면 처방을 해 주면 된다.
약국, 보건소, 반상회, 슈퍼, 민방위대.... 유통 경로.. 아주 많다.
나눠주고 복용자들 건강도 쭉 파악하고 얼마나 좋은가!!!
상수시설에 불소 뿌리고 관리하는 비용보다 싸고 쉽고 일자리도 많아진다.
다만 기존 사업의 부가사업이 아니라 그것이 문제일 뿐이다.
당장 충치가 걱정인 이들에겐 치약을 나눠줘라.
아무리 좋다고 해도 싫다면 어쩔 수 없는 것이 세상사인데...참말 한심타
삼국유사에 비류가 인천지역에 자리를 잡아 나라를 도모했다고 한다..
그러다 땅이 질척하고 소금끼가 있어 여의치 않아 온조이 정착한
지금의 한강 유역으로 세력이 합쳐졌다한다.
불소하고는 별 상관없는 얘기인데, 인천지역 상수도에 불소를 섞는다니
생각이 났다.
상식이지만 말 만들어 가다 보면 상식이 어리해 진다.
사회비용만 늘어나는 곳...
eglish word
asylum [silm] (정신 병자•고아•노인 등의) 보호소, 수용소, 양호 시설.
delineation [dilniin] 외형[윤곽]을 그리기; 스케치, 소묘(素描); 묘사.
tidbit [tdbt] 맛있는 음식의 한 입[조각].
provoke [prvuk] …을 화나게 하다, 약올리다.
deduct [didkt] …을 빼다, 공제하다[from].
relinquish [rilkwi] [소유물 따위]를 포기[양도]하다[to ]; [계획•희망 따위]를 버리다, 단념하다; [지위•직 따위]를 사퇴하다, 양도하다.
preemptively [primptivli] 선매하여 ; 예방적으로 ; 우선적으로.
elide [ilid] (어미의) [모음•음절]의 발음을 생략하다(예 …을 묵살하다; …을 무시하다, 생략하다.
crappy [krpi] <속어> 더러운, 불결한; 불쾌[지독]한.
convoluted [knvltid / kn-] 회선형의, 둘둘 말린[감긴]; 포선형의.
convolute [knvlt / kn-] …을 감아 넣다, 둘둘 말다.
myriad [mrid] 무수; 매우 많은 사물[사람].
crux [krks] 가장 중요한 점, 핵심, 급소.
with much ado 야단 법석을 떨며; 애써서.
once for ado 딱 한 번만.
much ado about nothing 공연한 법석.
dead for ado 죽어 버려서.
Much Ado About Nothing 거짓 소동.
ado [d] 법석, 소동(fuss); 수고, 노고, 곤란.
per se [p() si,-s] 스스로, 그 자체는; 본질적으로.
cucumber [kjkmb] 오이(의 열매).
qualm [kwm,kwm] (…에 대한/…의 점에서의) 거리낌, 양심의 가책[about/in]. (…에 대한) (갑작스러운) 불안감, 염려, 걱정[about]..
fuzzy matching <컴퓨터> 퍼지 매칭(2가지 것을 비교할 때 완전히 동일한가가 아니라 비슷한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
fuzzy-headed [-hdid] 머리가 멍한; 경박한, 생각이 모자라는.
fuzzy [fzi] 보풀[솜털]같은; 보풀이 인.
mouthful [mufl] 한 입 가득, 한 입(의 분량).
phew [fju] 체!, 참!, 저런!(whew)(불쾌•초조•놀람 따위를 나타낸다).
mind-set [st] <구어> 마음가짐, 정신 자세; 사고 방식, 심적 경향; 태도, 버릇.
Epiphany [ipfni] <기독교> 예수 공현일(公顯日)(그리스도 탄생 때 동방의 3박사(Magi)가 찾아간 날을 축하하는 1월 6일 또는 1월 2일 뒤의 일요일). (e- ) (신 등의) 출현, 현현(顯現).
harangue [hr] <경멸적> (열렬한) 연설, 열변; (호언장담하는) 장광설(長廣舌); (장황한) 설교, 질책.…을 향해 열렬한 연설을 하다, 열변을 토하다.
digressive [digrsiv,dai-] 여담으로 흐르기 쉬운, 주제를 벗어나기 쉬운; 탈선하기 쉬운, 지엽적인.
extradite [kstrdit] [도망범]을 (본국•관할지에) 인도하다, 송환하다[to]. …을 (…으로부터) 인도(引渡)받다, 인수하다[from].
reemerge [rimd] 다시 나타나다, 재출현하다.
denote [dinut] …의 표시[상징]이다, …의 이름[명칭]이다.
conduit [kndwit,-dit / kndit] (물•가스 따위의) 도관(導管), 수도관, 홈통.
rigorous [rgs] 엄격한, 엄한.
intimate [ntmt] 친밀한, 친한, 사이가 좋은[with]; 친한 사람들의.
rally [rli] …을 다시 모으다, 규합하다, 다시 결속시키다..
be[or get] bogged down with[in] ~으로[에 빠져] 꼼짝 못하게 되다.
bog down ① 가라앉다. ② 늪[수렁]에 빠지다, 꼼짝 못하게 되다.
bog [bg,bg / bg] 소택지, 습지, 늪.
ammunition [mjunn] 탄약, 총탄 (폭탄류 포함); (뇌관•퓨즈 따위) 폭파 장치.
fussy [fsi] 법석을 떠는, 까다로운; 신경질적인[about].
trawl [trl] 트롤망(網), 저인망(底引網).
slew <미국> 늪지대, 습지.
slew [slu] slay의 과거.
parlor [pl] 응접실, 거실(living room).
parlor trick <비꼬아>숨은 재주.
ail [eil] …을 괴롭히다, 고민하게 하다, 번거롭게 하다.
ailing [ili] 앓고 있는, 병든; 고민하고 있는.
figment [fgmnt] 상상의 산물, 공상, 환상.
imploring [impli] 탄원[애원]하는.
overachieve [uvtv] 기대 이상으로 좋은 성적을 올리다.
grenade [grinid] 수류탄; 소화탄, 최루탄.
occlude [kld / k-] [구멍•통로 따위]를 막다, 메우다.
vertigo [vtigu] <병리> 현기증.
redundant [ridndnt] (문체 따위가) 장황한, 용장한.
damnation [dmnin] 매도(罵倒), 비난, 혹평; 저주; 매도[비난, 저주]의 원인[이유].
bout [baut] (권투•레슬링 따위의) 한판 승부, 시합.
hunch [hnt] [등 따위]를 활처럼 구부리다(up).
exempt [igzmpt] …에게 (의무•책임 따위를) 면제하다; (고통 따위를) 덜어주다[from].
fumble [fmbl] 더듬다, 여기저기 찾(아다니)다(about, around)[for]; …을 모색하다[after]; …을 (서투르게) 만지작거리다[at, with].
warily [wrili] 조심성 있게, 주의깊게, 신중하게.
flail [fleil] (보리 따위를 터는) 도리깨.
lunge [lnd] (칼 따위로 갑자기) 푹 찌르기; <펜싱> 찌르기.
perpendicular [ppndkjul] 수직의, 연직(鉛直)의, 직립한.
somersault [smslt] 공중제비, 재주넘기.
pallet [plit] 짚자리, 짚이불
palette [plit] 팔레트, 조색판
conviction <법률> 유죄 판결[평결][ for ].
exhilaration 기분을 북돋우기, 활기를 불어넣기.
ascertain ~을 확인하다, 규명하다, 확정하다.
penmanship 습자, 서법; 필적
pimple <병리>뾰루지; 여드름
scowl 얼굴을 찡그리다, 언짢은 낯을 하다; 노려보다, 쏘아보다
diaphanous 속이 비치는, 투명한; 반투명의.
ascetic 수행자, 고행자, 행자.
intonation 억양, 어조, 음조, 인토네이션
fudge 퍼지.
rut 바퀴 자국, 차가 지나간 자국
groove 홈, 홈줄; 홈; 홈; 강선.
electorate <집합적> 선거민, 유권자.
chitchat 간단한 대화, 잡담.
embark ~을 태우다, 싣다, 적재하다, 탑승[승선]시키다.
dysfunction <병리> 기능 장애, 기능 이상[부전]; 기능 장애를 일으키는 부분.
vault 둥근 천장
pester ~을 괴롭히다, 성가시게 굴다, 귀찮게 애먹이다
squirm 꿈틀거리다, 몸부림치다; 꿈틀거리며 나아가다
depict ~을 그리다, 표현하다, 묘사[시술]하다[as].
practitioner 개업자, 전문가; 개업의, 변호사
parishioner 소교구민
grueling, 《英》 -elling 기진맥진케 하는; 심한, 엄한.━ <英구어> 엄벌; 가혹한 처사, 심한 봉변.
gruel 묽은 죽, 오트밀 죽.
subjugate ~을 정복하다; ~을 복종시키다; 〔감정 등〕을 억누르다
blurt ~을 불쑥 말하다; ~을 부지중에 말하다, 무심코 말하다, 누설하다.━ 불쑥 말하기, 부지중에 누설하기.
gut 소화기관, 장.
hygiene 위생학; 위생법, 건강법; 위생, 청결
imperative 피할 수 없는, 부득이한, 필수적인; 긴급한, 중요한
litigate 〔문제〕를 법정으로 넘기다, 법정에서 다투다
insipid [inspid] 재미없는, 무미건조한, 활기없는, 지루한
sedative [sdtiv] 진정시키는, 누그러뜨리는; <의학> 진정 작용이 있는
tenacious [tnis] 꽉 쥐고 놓지 않는, 단단히 잡고 있는
dike [daik] 둑, 제방; 둑길.
gnaw [n] a) ~을 갉아먹다, 쏠다, 씹다; ~을 깨물다; ~을 물어 끊다.b) 〔구멍 따위〕를 갉아서 만들다.
jade [deid] 비취, 옥; 비취 제품
jade 야윈 말
penalize [pnliz,pn-] ~을 벌하다, 형에 처하다; ~에게 유죄를 선언하다
succumb [skm] 굴복하다, 복종하다, 지다
pretense [pritns,prtens / pritns] 거짓 꾸미기, 겉치레, 위장, ~인 체하기
berate [birit] 〔남〕을 호되게 꾸짖다, 욕을 퍼붓다[for]. ▷REPROACH
badger [bd] ( ~1 오소리; 오소리 모피.
indigent [ndidnt] 가난한, 빈곤한
obnoxious [bnks / -nk-] 아주 싫은, 불쾌한, 역겨운, 추악한, 미움받고 있는
bigot [bgt] 고집스레 믿고 있는 사람; 광신자; 편협[완고]한 사람.
credence [krdns] 믿음, 신용, 신뢰; 신임.
deprecating [dprikiti] 강력히 반대하는, 비난조의; 면하고자 하는, 애원조의.-ly
deprecate [dprikit] ~을 옳지 않다고 역설하다;〔계획 따위〕에 반대하다.
replete [riplt] <서술용법> 가득한, 충만한
quid pro quo [kwd prou kwu] 대상, 보수, 보상품
curry [kri,kri / kri] 카레 ; 카레 소스.
coercion [koun] 강제, 억압, 위압, 강압; 강제력, 권력.
clout [klaut] <구어> 한 대 치기, 손바닥으로 때리기.
malleable [mlibl] <야금> 두들겨 펼 수 있는, 가단성의
impasse [mps,- / mps] 궁지, 난국; 막다름; 막다른 골목
travail [trvil,trveil / trveil] 노고, 고생, 신고; 노작
extricate [kstrkit] ~을 구해내다, 해방시키다; 이탈시키다[from, out of].2<화학>~을 유리시키다.
adroit [drit] 능숙한, 교묘한; 영리한, 재치있는[in, at]. ▷ SKILLFUL -ly -ness
adroitly [dritli] 능숙하게; 영리하게
haggle [hgl] 값을 깎으려고 조르다
one [wn] 하나의, 한 개의; 한 사람의; 단일의
pinpoint [pnpint] 핀 끝, 뾰족한 끝
hefty [hfti] <구어> 크고 무거운, 중량이 있는
barrelhead [brlhd] 통의 뚜껑[바닥].
proprietor [prprit] 소유자, 소유자 단체; 소유자
prong [pr / pr] 뾰족한 끝
analogy [nldi] 유사, 비슷함[between, to, with]. ▷ LIKENESS
BYOB, B.Y.O.B. bring your own booze[or bottle, beer] (.
karaoke [kriuki] 가라오케, 노래방
citadel [stdl,-dl] 1. (도시를 지키는) 성채, 요새. 2. 성, 아성; 견고한 장소. 3. 최후의 피난처. 4. (군함의) 포대, 포탑(砲塔).
citadel [stdl,-dl] 1. (도시를 지키는) 성채, 요새. 2. 성, 아성; 견고한 장소. 3. 최후의 피난처. 4. (군함의) 포대, 포탑(砲塔).
primeval [praimvl] 원시 시대의, 원시의, 태고의. ~·ly
delve [delv] 1. (문제·정보 따위를/사실 따위를 찾으려) 파고들다, 철저히 조사하다, 깊이 탐구하다 《into, among/ for》. 2. (서랍 따위를) 샅샅이 뒤지다. 3. 《시·고어》 파다[for].
betide [bitid] 《문어》 (…에게) 일어나다, 생기다.
delineation [dilniin] 외형[윤곽]을 그리기; 스케치, 소묘(素描); 묘사.
tidbit [tdbt] 맛있는 음식의 한 입[조각].
provoke [prvuk] …을 화나게 하다, 약올리다.
deduct [didkt] …을 빼다, 공제하다[from].
relinquish [rilkwi] [소유물 따위]를 포기[양도]하다[to ]; [계획•희망 따위]를 버리다, 단념하다; [지위•직 따위]를 사퇴하다, 양도하다.
preemptively [primptivli] 선매하여 ; 예방적으로 ; 우선적으로.
elide [ilid] (어미의) [모음•음절]의 발음을 생략하다(예 …을 묵살하다; …을 무시하다, 생략하다.
crappy [krpi] <속어> 더러운, 불결한; 불쾌[지독]한.
convoluted [knvltid / kn-] 회선형의, 둘둘 말린[감긴]; 포선형의.
convolute [knvlt / kn-] …을 감아 넣다, 둘둘 말다.
myriad [mrid] 무수; 매우 많은 사물[사람].
crux [krks] 가장 중요한 점, 핵심, 급소.
with much ado 야단 법석을 떨며; 애써서.
once for ado 딱 한 번만.
much ado about nothing 공연한 법석.
dead for ado 죽어 버려서.
Much Ado About Nothing 거짓 소동.
ado [d] 법석, 소동(fuss); 수고, 노고, 곤란.
per se [p() si,-s] 스스로, 그 자체는; 본질적으로.
cucumber [kjkmb] 오이(의 열매).
qualm [kwm,kwm] (…에 대한/…의 점에서의) 거리낌, 양심의 가책[about/in]. (…에 대한) (갑작스러운) 불안감, 염려, 걱정[about]..
fuzzy matching <컴퓨터> 퍼지 매칭(2가지 것을 비교할 때 완전히 동일한가가 아니라 비슷한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
fuzzy-headed [-hdid] 머리가 멍한; 경박한, 생각이 모자라는.
fuzzy [fzi] 보풀[솜털]같은; 보풀이 인.
mouthful [mufl] 한 입 가득, 한 입(의 분량).
phew [fju] 체!, 참!, 저런!(whew)(불쾌•초조•놀람 따위를 나타낸다).
mind-set [st] <구어> 마음가짐, 정신 자세; 사고 방식, 심적 경향; 태도, 버릇.
Epiphany [ipfni] <기독교> 예수 공현일(公顯日)(그리스도 탄생 때 동방의 3박사(Magi)가 찾아간 날을 축하하는 1월 6일 또는 1월 2일 뒤의 일요일). (e- ) (신 등의) 출현, 현현(顯現).
harangue [hr] <경멸적> (열렬한) 연설, 열변; (호언장담하는) 장광설(長廣舌); (장황한) 설교, 질책.…을 향해 열렬한 연설을 하다, 열변을 토하다.
digressive [digrsiv,dai-] 여담으로 흐르기 쉬운, 주제를 벗어나기 쉬운; 탈선하기 쉬운, 지엽적인.
extradite [kstrdit] [도망범]을 (본국•관할지에) 인도하다, 송환하다[to]. …을 (…으로부터) 인도(引渡)받다, 인수하다[from].
reemerge [rimd] 다시 나타나다, 재출현하다.
denote [dinut] …의 표시[상징]이다, …의 이름[명칭]이다.
conduit [kndwit,-dit / kndit] (물•가스 따위의) 도관(導管), 수도관, 홈통.
rigorous [rgs] 엄격한, 엄한.
intimate [ntmt] 친밀한, 친한, 사이가 좋은[with]; 친한 사람들의.
rally [rli] …을 다시 모으다, 규합하다, 다시 결속시키다..
be[or get] bogged down with[in] ~으로[에 빠져] 꼼짝 못하게 되다.
bog down ① 가라앉다. ② 늪[수렁]에 빠지다, 꼼짝 못하게 되다.
bog [bg,bg / bg] 소택지, 습지, 늪.
ammunition [mjunn] 탄약, 총탄 (폭탄류 포함); (뇌관•퓨즈 따위) 폭파 장치.
fussy [fsi] 법석을 떠는, 까다로운; 신경질적인[about].
trawl [trl] 트롤망(網), 저인망(底引網).
slew <미국> 늪지대, 습지.
slew [slu] slay의 과거.
parlor [pl] 응접실, 거실(living room).
parlor trick <비꼬아>숨은 재주.
ail [eil] …을 괴롭히다, 고민하게 하다, 번거롭게 하다.
ailing [ili] 앓고 있는, 병든; 고민하고 있는.
figment [fgmnt] 상상의 산물, 공상, 환상.
imploring [impli] 탄원[애원]하는.
overachieve [uvtv] 기대 이상으로 좋은 성적을 올리다.
grenade [grinid] 수류탄; 소화탄, 최루탄.
occlude [kld / k-] [구멍•통로 따위]를 막다, 메우다.
vertigo [vtigu] <병리> 현기증.
redundant [ridndnt] (문체 따위가) 장황한, 용장한.
damnation [dmnin] 매도(罵倒), 비난, 혹평; 저주; 매도[비난, 저주]의 원인[이유].
bout [baut] (권투•레슬링 따위의) 한판 승부, 시합.
hunch [hnt] [등 따위]를 활처럼 구부리다(up).
exempt [igzmpt] …에게 (의무•책임 따위를) 면제하다; (고통 따위를) 덜어주다[from].
fumble [fmbl] 더듬다, 여기저기 찾(아다니)다(about, around)[for]; …을 모색하다[after]; …을 (서투르게) 만지작거리다[at, with].
warily [wrili] 조심성 있게, 주의깊게, 신중하게.
flail [fleil] (보리 따위를 터는) 도리깨.
lunge [lnd] (칼 따위로 갑자기) 푹 찌르기; <펜싱> 찌르기.
perpendicular [ppndkjul] 수직의, 연직(鉛直)의, 직립한.
somersault [smslt] 공중제비, 재주넘기.
pallet [plit] 짚자리, 짚이불
palette [plit] 팔레트, 조색판
conviction <법률> 유죄 판결[평결][ for ].
exhilaration 기분을 북돋우기, 활기를 불어넣기.
ascertain ~을 확인하다, 규명하다, 확정하다.
penmanship 습자, 서법; 필적
pimple <병리>뾰루지; 여드름
scowl 얼굴을 찡그리다, 언짢은 낯을 하다; 노려보다, 쏘아보다
diaphanous 속이 비치는, 투명한; 반투명의.
ascetic 수행자, 고행자, 행자.
intonation 억양, 어조, 음조, 인토네이션
fudge 퍼지.
rut 바퀴 자국, 차가 지나간 자국
groove 홈, 홈줄; 홈; 홈; 강선.
electorate <집합적> 선거민, 유권자.
chitchat 간단한 대화, 잡담.
embark ~을 태우다, 싣다, 적재하다, 탑승[승선]시키다.
dysfunction <병리> 기능 장애, 기능 이상[부전]; 기능 장애를 일으키는 부분.
vault 둥근 천장
pester ~을 괴롭히다, 성가시게 굴다, 귀찮게 애먹이다
squirm 꿈틀거리다, 몸부림치다; 꿈틀거리며 나아가다
depict ~을 그리다, 표현하다, 묘사[시술]하다[as].
practitioner 개업자, 전문가; 개업의, 변호사
parishioner 소교구민
grueling, 《英》 -elling 기진맥진케 하는; 심한, 엄한.━ <英구어> 엄벌; 가혹한 처사, 심한 봉변.
gruel 묽은 죽, 오트밀 죽.
subjugate ~을 정복하다; ~을 복종시키다; 〔감정 등〕을 억누르다
blurt ~을 불쑥 말하다; ~을 부지중에 말하다, 무심코 말하다, 누설하다.━ 불쑥 말하기, 부지중에 누설하기.
gut 소화기관, 장.
hygiene 위생학; 위생법, 건강법; 위생, 청결
imperative 피할 수 없는, 부득이한, 필수적인; 긴급한, 중요한
litigate 〔문제〕를 법정으로 넘기다, 법정에서 다투다
insipid [inspid] 재미없는, 무미건조한, 활기없는, 지루한
sedative [sdtiv] 진정시키는, 누그러뜨리는; <의학> 진정 작용이 있는
tenacious [tnis] 꽉 쥐고 놓지 않는, 단단히 잡고 있는
dike [daik] 둑, 제방; 둑길.
gnaw [n] a) ~을 갉아먹다, 쏠다, 씹다; ~을 깨물다; ~을 물어 끊다.b) 〔구멍 따위〕를 갉아서 만들다.
jade [deid] 비취, 옥; 비취 제품
jade 야윈 말
penalize [pnliz,pn-] ~을 벌하다, 형에 처하다; ~에게 유죄를 선언하다
succumb [skm] 굴복하다, 복종하다, 지다
pretense [pritns,prtens / pritns] 거짓 꾸미기, 겉치레, 위장, ~인 체하기
berate [birit] 〔남〕을 호되게 꾸짖다, 욕을 퍼붓다[for]. ▷REPROACH
badger [bd] ( ~1 오소리; 오소리 모피.
indigent [ndidnt] 가난한, 빈곤한
obnoxious [bnks / -nk-] 아주 싫은, 불쾌한, 역겨운, 추악한, 미움받고 있는
bigot [bgt] 고집스레 믿고 있는 사람; 광신자; 편협[완고]한 사람.
credence [krdns] 믿음, 신용, 신뢰; 신임.
deprecating [dprikiti] 강력히 반대하는, 비난조의; 면하고자 하는, 애원조의.-ly
deprecate [dprikit] ~을 옳지 않다고 역설하다;〔계획 따위〕에 반대하다.
replete [riplt] <서술용법> 가득한, 충만한
quid pro quo [kwd prou kwu] 대상, 보수, 보상품
curry [kri,kri / kri] 카레 ; 카레 소스.
coercion [koun] 강제, 억압, 위압, 강압; 강제력, 권력.
clout [klaut] <구어> 한 대 치기, 손바닥으로 때리기.
malleable [mlibl] <야금> 두들겨 펼 수 있는, 가단성의
impasse [mps,- / mps] 궁지, 난국; 막다름; 막다른 골목
travail [trvil,trveil / trveil] 노고, 고생, 신고; 노작
extricate [kstrkit] ~을 구해내다, 해방시키다; 이탈시키다[from, out of].2<화학>~을 유리시키다.
adroit [drit] 능숙한, 교묘한; 영리한, 재치있는[in, at]. ▷ SKILLFUL -ly -ness
adroitly [dritli] 능숙하게; 영리하게
haggle [hgl] 값을 깎으려고 조르다
one [wn] 하나의, 한 개의; 한 사람의; 단일의
pinpoint [pnpint] 핀 끝, 뾰족한 끝
hefty [hfti] <구어> 크고 무거운, 중량이 있는
barrelhead [brlhd] 통의 뚜껑[바닥].
proprietor [prprit] 소유자, 소유자 단체; 소유자
prong [pr / pr] 뾰족한 끝
analogy [nldi] 유사, 비슷함[between, to, with]. ▷ LIKENESS
BYOB, B.Y.O.B. bring your own booze[or bottle, beer] (.
karaoke [kriuki] 가라오케, 노래방
citadel [stdl,-dl] 1. (도시를 지키는) 성채, 요새. 2. 성, 아성; 견고한 장소. 3. 최후의 피난처. 4. (군함의) 포대, 포탑(砲塔).
citadel [stdl,-dl] 1. (도시를 지키는) 성채, 요새. 2. 성, 아성; 견고한 장소. 3. 최후의 피난처. 4. (군함의) 포대, 포탑(砲塔).
primeval [praimvl] 원시 시대의, 원시의, 태고의. ~·ly
delve [delv] 1. (문제·정보 따위를/사실 따위를 찾으려) 파고들다, 철저히 조사하다, 깊이 탐구하다 《into, among/ for》. 2. (서랍 따위를) 샅샅이 뒤지다. 3. 《시·고어》 파다[for].
betide [bitid] 《문어》 (…에게) 일어나다, 생기다.
주유소 가맹점 카드 수수료율
현재 주유소 가맹점 카드 수수료율은 1.5%다.
휘발유 1ℓ를 2000원에 팔면 1.5%인 30원을 카드사가 수수료가 된다.
[0303/목, 11:38:35,2011]
원가:
정유사 세전 공급가: 796 원 > 44%
유류세: 900 > 50%
(고통세, 30%, 교육세 4.5%, 주행세 7.5%, 부가세 8.5%)
주유소 유통비용: 110 (6%)
휘발유 1ℓ를 2000원에 팔면 1.5%인 30원을 카드사가 수수료가 된다.
[0303/목, 11:38:35,2011]
원가:
정유사 세전 공급가: 796 원 > 44%
유류세: 900 > 50%
(고통세, 30%, 교육세 4.5%, 주행세 7.5%, 부가세 8.5%)
주유소 유통비용: 110 (6%)
Subscribe to:
Posts (Atom)
-
* postgres - pgmodelear ** new version > download: https://github.com/pgmodeler/pgmodeler sudo apt-get install qt-sdk sudo apt-get ins...
-
Consolas also work with VS2010 Consolas 폰트가 설치만으로 사용가능하지만 이름 선택을 "Consolas "로 하고 싶다면 아래와 같이 한다. 다운로드 링크: http://www.microsof...
-
how to connect postgres in openoffice --> https://wiki.openoffice.org/wiki/Base/connectivity/PostgreSQL Base/connectivity/PostgreS...